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1007명 중 481명, 최근 20여일간 숨졌다... "명백한 인재"

알림

1007명 중 481명, 최근 20여일간 숨졌다... "명백한 인재"

입력
2021.01.05 18:00
8면
0 0

코로나19 누적 사망자 1,000명 돌파

한파가 이어지고 있는 5일 서울시내 한 쪽방촌에서 주민이 골목을 지나고 있다. 뉴스1

한파가 이어지고 있는 5일 서울시내 한 쪽방촌에서 주민이 골목을 지나고 있다. 뉴스1


5일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누적 사망자 수가 1,000명을 넘어섰다. 사망자 대부분은 3차 대유행이 한창이던 지난해 12월에 집중됐다. 특히 요양시설에서 잇따라 집단감염이 발생하면서 60대 이상 사망자가 많았다. 충분한 대책 마련 필요성이 거듭 제기된 취약 집단이었다는 점에서 "명백한 인재"라는 날선 비판도 나온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누적 사망자는 전날에 비해 26명이 늘어 1,007명에 달했다. 지난해 2월2일 국내 첫 확진자가 나온 이래 약 11개월여 만이다.

눈길을 끄는 대목은 사망자 증가 속도다. 코로나19 확산 초기인 지난해 3월엔 한 달간 무려 146명의 사망자가 쏟아졌지만, K방역이 가동되면서 사망자 수가 크게 줄었다. 지난해 11월 들어서야 누적 사망자 수가 500명대에 진입했다. 하지만 12월 3차 대유행이 시작되면서 500명대에서 600명대 진입에는 25일이, 700명대 진입은 7일, 800명대는 불과 5일, 900명대는 겨우 4일밖에 걸리지 않았다. 이후 1,000명대 진입에 5일이 소요됐다. 그 결과 전체 사망자의 절반(48%)에 달하는 481명이 지난해 12월 이후 숨진 이들이다. 481명 가운데 60대 이상은 407명으로 84%를 차지했다.

겨울철 대유행에 대비해야 한다는 경고가 있었음에도 연말에 사망자가 집중된 이유로는 ①병상 부족 ②의료인력 부족 ③사회적 거리두기 실패, 세 가지가 꼽힌다.

먼저, 뒤늦은 병상 확보다. 코로나19는 결국 호흡기 질환인데, 이는 겨울철에 활발히 감염된다. 하지만 하루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처음으로 1,000명을 넘긴 12월 13일(1,030명)에야 부랴부랴 '1만병상 확보 계획'을 내놨다. 환자 발생이 집중된 수도권에 쓸 수 있는 중환자 병상이 13개밖에 없던 시점이었다. 병상 수보다 환자 수가 더 급격히 늘어나면서 급한 환자들이 당장 들어갈 곳이 없었다. 그러다 8명은 자택에서 병상 대기 중 사망했다.

그 다음에는 의료인력 부족 문제가 불거졌다. 코로나19 중환자 1명을 받으려면 의사 2명(12시간 맞교대)에다 간호사 10명(3명씩 3교대)이 필요한데, 인력이 턱없이 부족했다. "인력 없는 병상은 침대일 뿐"이라는 지적이 있었음에도, 그제서야 정부는 코로나19 중환자 전담 간호사 388명 교육에 착수했다. 하지만 기존 인력과 파견직 간 차별대우 문제, 파견 간호사들의 비숙련 문제가 불거지면서 정부 대응에 대한 비판론이 높아졌다.

근본적으로는 막판에 사회적 거리두기 유지에 실패했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10월 2차 대유행 당시 확진자 수가 1단계 요건(50명 미만)을 충족하지 않았음에도 거리두기 단계를 하향 조정하면서 소비쿠폰을 뿌렸다. 명백히 잘못된 시그널이었다는 평가다. 그 다음 달 거리두기 체계를 3단계에서 5단계로 개편한 것 또한 결국 사회적 이완을 불러왔다는 지적이다. 이후 확진자가 늘면서 거리두기 단계를 상향 조정했지만 '+α' 같은 변칙만 거듭하면서 망설였다. 정부가 미적거리는 사이 지역사회 감염이 번지면서 결국 요양시설, 구치소 등 감염취약시설이 제대로 된 대응을 하지 못한 채 타격을 입었다. 실제 1,007명 중 507명이 시설 및 병원에서 감염돼 숨졌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감염 확산세가 약했을 때 미리 준비했다면 사망자가 이렇게까지 크게 불어나지 않았을 것"이라며 "그런 점에서 최근 사망자 급증은 예고된 인재라고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진주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