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알림

누구를 위한 '반일'이었나

입력
2020.07.28 04:30
26면
0 0

편집자주

36.5℃는 한국일보 중견 기자들이 너무 뜨겁지도 너무 차갑지도 않게, 사람의 온기로 써 내려가는 세상 이야기입니다.


지난달 5일 오후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사 앞에서 열린 이스타항공노동자 결의대회에서 참석자들이 이스타항공 운항 재개와 체불임금 지급을 촉구하고 있다. 뉴스1

지난달 5일 오후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사 앞에서 열린 이스타항공노동자 결의대회에서 참석자들이 이스타항공 운항 재개와 체불임금 지급을 촉구하고 있다. 뉴스1


설 명절에 가족들인 모인 자리에서 가을쯤 해외여행을 가자는 얘기가 나왔다. 어머니 칠순을 기념해서다. 괌 베트남 싱가포르 등이 후보로 거론됐다. 거기에 “가까운 일본은 어때”라는 제안을 보탰다. 그러자 초등학생 조카들이 펄쩍 뛰며 말했다. “삼촌, 이 시국에 일본이요? 거기 다녀왔다고 하면 ‘왕따’돼요.” 당시는 이른바 ‘노(NO) 재팬’ 운동이 시작된 지 반 년이 지난 시점이었다.

지난 주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에게 ‘노딜(인수무산)’을 선언했단 소식을 듣고 불현듯 그 때 기억이 떠올랐다. 매각이 무산된 이스타항공은 곧장 파산 위기에 몰렸다. 이미 모든 항공기 운항이 중단된 데다 완전자본잠식 상태여서 자력으로 살 길을 찾기는 힘들어 보인다.

이스타항공은 어쩌다 이 지경이 됐을까. 대주주인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 일가의 경영실패와 무책임한 행보에 가장 큰 원인이 있다는 점엔 이견이 없을 것이다. 저비용항공사(LCC)를 9개나 허용해 과당경쟁을 초래한 국토교통부도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여기에 한 가지 더 지적하고 싶은 게 있다. 기업 실적만 놓고 보면, 이스타항공의 날개가 꺾인 결정적인 계기는 2019년 7월 불붙기 시작한 일본 불매운동이었다는 점이다.

2007년 설립된 이스타항공은 2013년 첫 영업이익을 낸 후 2018년까지 소폭이나마 흑자를 유지했다. 매출도 2013년 2,543억원에서 2018년 5,663억원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수익성이 계속 나빠졌고 자본잠식도 커졌지만, 어쨌거나 당장 파산을 걱정할 정도는 아니었다.

하지만 2019년 돌연 738억원 영업손실을 기록한다. 국제선 가운데 30% 이상을 차지하던 일본이 한 순간에 ‘가면 안 되는 곳’이 돼버렸기 때문이다. 2018년 총 753만명에 달한 일본 출국자는 2019년 하반기 157만명으로 급감했다. 다른 LCC업체들 역시 작년 3분기부터 모두 적자로 돌아섰다. 재무 사정이 더 나빴던 이스타항공은 작년 9월 비상경영체제에 들어섰고 결국 매물로 나오게 된다.

물론 불매운동이 잘못이라는 얘기는 아니다. 촉매가 됐던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는 분명 잘못된 것이었고, 이 조치의 출발점인 강제노역 사건 판결에 대한 일본의 항의도 비난 받아 마땅하다. 하지만 정당한 소비행위라 해도 그로 인해 엉뚱한 피해를 보는 기업이나 국민들이 생길 수 있다. 그런 점까지 고려해 성숙한 대응을 유도하고 피해기업에 대한 대책까지 마련해야 하는 것은 정부의 몫이다.

현실은 오히려 반대였다. 정부와 여당은 반일감정을 부풀리는 쪽으로 대응을 했다. 청와대 고위간부는 동학농민운동을 소재로 한 '죽창가'를 페이스북에 올리며 여론 몰이에 앞장섰다. 여당 원내대표는 일본에 우호적인 얘기를 하면 ‘신친일’이라고 몰아세웠다. 그 결과 초등학생들까지 일본에 가면 '매국노'로 여기는 세상이 됐다. 제대로 된 외교적 해법을 내놓지 못했음에도 대통령과 여당의 지지율은 되레 상승했고, 총선도 압승했다.

그 사이 이스타항공 노동자들의 처지는 어땠나. 이스타항공에선 노동자 수백 명이 구조조정을 당했고 1,600명이 넉 달 째 월급을 받지 못하고 있다. 자신들이 던진 '짱돌'이 자국민의 뒤통수를 때렸지만, 그 고통에 함께한 여당 의원은 단 한명도 없었다. 인수가 무산된 후에도 정부와 여당은 뒷짐만 지고 있다. 과연 누구를 위한 '반일'이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유환구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