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년 가까이 지속되는 코로나19 상황에 전 세계가 큰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한국은 이를 이겨내고 변화와 성장의 기회로 만들 것이라 믿는다. 교육 또한 마찬가지이다. 교육 분야에서의 코로나19에 대한 대응은 의료분야만큼 어렵고 지금도 진행 중이다.
3월 2일 예정된 개학이 몇 차례 연기된 끝에, 4월 9일부터 전국 540만명 초중고 학생들이 유례없는 온라인 개학을 시작했고, 5월 20일부터는 원격수업과 등교수업을 병행하기 시작했다. 전국의 교사들은 원격수업, 등교수업, 학교방역, 학생 상담 및 학급 관리 등 1인 7~8역을 소화하며 헌신하고 있고, 학생과 학부모는 학교를 믿고 함께 해 주고 있다. 진심으로 선생님들께 감사드리고, 우리 학생들에게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코로나19 상황에서 보여 준 학교현장의 힘은 정말로 놀라웠고, 우리 교육의 저력을 새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과정에서 다시 한 번 느낀 것은 “현장에 답이 있고, 미래가 있다”는 것이다.
전국 모든 학생과 교사의 원격교육 경험은 무엇보다 소중한 자산이다. 학교공동체의 민주적 소통과 결정으로 운영된 학교들이 코로나19 상황에 더 잘 대처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3월 한 달 동안 학교를 가지 못하고, 4월 내내 원격수업을 하며, 우리는 왜 아이들이 학교에 가야 하는지, 학교는 학생들에게 무엇을 제공하고 있는지를 자문하고 성찰하게 되었다. 또, 학교를 학교답게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도 더 진지하게 묻게 되었다.
교육부와 교육청은 이 변화를 예견하며, 몇 가지 원칙 아래 과감하게 현장을 지원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선은 교육의 지속성이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중단 없이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야 하며, 디지털 인프라 구축은 그 시작일 것이다. 둘째는 교육의 포용성이다. 소외와 차별 없이 모든 학생에게 보편적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고, 특별한 사정이 있는 학생에게는 그에 맞는 세심한 교육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현장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존중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이번 코로나19를 대응하며 “가장 민주적인 학교가 가장 강했다”라는 현장의 의견을 고려할 때, 교육부와 교육청이 코로나19를 계기로 민주적인 학교운영과 학교문화가 정착되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정부를 중심으로 이미 시작된 미래교육 과제도 있다. 온오프 교육이 융합된 미래형 학교와 새로운 교육을 구상하기 시작했고, 현재의 근대식 학교건물과 교실에서 탈피하기 위한 학교 공간혁신과 스마트 학습환경 구축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이번 3회 추경예산에서 증액된 4,260억원은 학교의 디지털 인프라 구축의 디딤돌이 될 것이다.
우리 교육이 미래로 나아갈 수 있는 이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학생, 선생님, 학부모님의 적극적인 참여와 국민 여러분의 애정 어린 관심을 부탁드리고 싶다. 교육부도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