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터인가 친구들 모임에 가면 “어디가 아프다” “어떤 질환에는 어느 병원이 좋다더라”는 건강 이야기 외에 “내가 언제까지 일을 할 수 있을까? 은퇴 후 무엇을 할 수 있을까?”라는 일자리에 관한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심지어 이미 은퇴한지 시간이 꽤 지났음에도 아직 어떻게 하루하루 보내야 할지 막막해 하는 친구들도 많다. 바로 베이비붐 세대들의 이야기다.
베이비붐 세대는 6·25전쟁 이후 급격하게 출생률이 증가한 1955년에서 1963년생을 일컫는 말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약 14.6%를 차지하고 있으며, IMF 외환위기와 같은 경제적 위기를 온 몸으로 견뎌낸 세대로서 정치적ㆍ사회적으로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 또한, 부모 봉양과 자녀 양육을 동시에 책임지고 있으면서 노후를 직접 준비해야 하는 그야말로 역동의 세대인 셈이다.
이들의 대규모 은퇴가 이미 시작되었다. 베이비붐 세대들은 허리가 휠 정도로 열심히 살아왔지만, 부모를 모시고 자녀의 결혼까지 책임지느라 제대로 노후를 대비할 겨를조차 없이 퇴직을 맞이하고 있다. 노후 대비라고 해봐야 평생을 일해 장만한 집 한 채가 전부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는 생산 가능 인구의 감소와 노동력 공급의 부족 현상, 연금 수급자 급증에 따른 연금 재정의 건전성 우려, 사회적 비용에 대한 정부의 부담 가중 등 우리 사회에 끼치는 영향이 매우 클 것으로 예측된다. 평균 수명은 점차 늘어나는데 평균 근속기간은 점점 짧아지는 아이러니한 상황에서 베이비붐 세대의 대량 은퇴에 대한 우리 사회의 준비는 턱없이 부족한 현실이며 그들만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ㆍ사회적 문제로 바라보고 대응해야 한다.
정부에서는 현재 국민연금 수급액 인상, 공공일자리 확대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펴고 있지만 이러한 국가 재정지출로는 한계가 있다. 가장 강력하고 확실한 해결책은 은퇴자들이 노후에도 안정적인 일자리를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직업능력개발 및 직업교육 강화를 통해 시장 재진입 지원 및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2018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발표에 따르면 OECD 주요국 중 한국의 55~64세 장년층들은 직업교육ㆍ훈련을 경험한 비중이 20.6%로 OECD 회원국 평균 28.3%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직업교육ㆍ훈련을 원하지만 경험하지 못한 55~64세 장년층이 21.4%로 OECD 회원국 평균 9.2%를 크게 상회하고 있어 이들을 대상으로 한 직업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고용노동부 산하 공공직업교육기관으로 일자리 특화대학을 선포한 한국폴리텍대학에서는 베이비붐 세대와 경력단절 여성을 포함한 우리 사회의 취업 취약 계층들이 경제활동에 성공적으로 재진입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직업교육 과정을 개발하고 교육생 눈높이에 맞는 맞춤식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2018년도 재취업 과정을 이수한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교육생 평균 연령은 57세, 학력은 고졸 이상이 92%였으며 희망고용형태는 정규직이 45%, 희망연봉은 평균 2,185만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베이비붐 세대의 응답에서는 고액 연봉이나 고급 일자리보다 노년을 대비하고 안정적인 수입을 보장 받을 수 있는 제2의 직업 갖기를 희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육과정 만족도는 5점 척도 기준 ‘만족’이상이 95%였으며, 2018년도의 경우 수료생의 64.2%가 취업에 성공하였고 올해도 많은 교육생들이 희망찬 인생 2모작을 위해 열심히 땀방울을 흘리고 있다.
한국폴리텍대학은 국책 특수대학으로서 국민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사명을 갖고 운영되고 있다. 도전 정신과 열정을 가지고 직업교육의 문을 두드리면 누구나 재취업의 길이 열릴 것이다. 우리 사회가 한 단계 더 발전하고 성숙해지기 위해서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이후 불안한 노후 대비는 배움을 통한 새로운 일자리가 해법이라 하겠다.
박종갑 한국폴리텍대학 구미캠퍼스 학장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