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돼지열병 나흘간 5건… 강화군 “모든 돼지 3만8000마리 살처분”

알림

돼지열병 나흘간 5건… 강화군 “모든 돼지 3만8000마리 살처분”

입력
2019.09.27 17:54
수정
2019.09.28 00:31
6면
0 0

임진강 등 통해 北서 유입된 듯… “강화가 시발점 가능성, 반경 10㎞ 돼지농가 없애야” 주장도

인천 강화군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집중적으로 퍼지고 있는 가운데, 26일 강화군 삼산면 한 돼지농가에서 방역당국 관계자들이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강화=홍인기 기자
인천 강화군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집중적으로 퍼지고 있는 가운데, 26일 강화군 삼산면 한 돼지농가에서 방역당국 관계자들이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강화=홍인기 기자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인천 강화군에서 집중 발생하면서 방역에 비상이 걸렸다. 강화는 국제공항이 인접한데다 임진강, 한강 등의 끝자락과 맞닿아 있어 해외나 북한으로부터 유입된 바이러스가 이 지역부터 퍼져 나갔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강화군이 관내 돼지 3만8,000마리 모두의 살처분을 결정했고, 강화 인근을 돼지사육 농가가 없는 ‘버퍼존’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다.

◇강화가 돼지열병 시발점?

27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전날 강화군 강화읍의 한 농장에서 돼지열병이 발생한 데 이어, 하점면 농장에서 접수된 의심신고도 이날 돼지열병으로 확진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돼지열병 9건 가운데, 최근 나흘 동안 5건이 강화에서만 발생한 셈이 됐다. 경기 동북부 확산 우려를 낳았던 연천군과 양주시 등의 의심신고에는 음성 판정이 이어졌지만, 이날 오후에는 양주시 광적면에서 추가 의심신고가 접수됐다.

이에 강화군은 이날 군 내 모든 양돈농가를 대상으로 예방적 살처분을 실시하기로 했다. 강화군은 확진 3㎞ 이내 농가와 살처분을 희망한 농가를 대상으로 한 예방적 살처분 외에 나머지 농가도 설득해 살처분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강화군에서 사육되고 있는 돼지는 약 3만8,000마리에 이른다. 유천호 강화군수는 “예방적 살처분 농가에 대한 조건 없는 100% 보상과 국비 지원을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 강화군과 김포시를 잇는 도로 등을 집중 소독하는 한편, 28일 정오까지 발령된 전국 돼지 일시 이동제한조치를 추가 연장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강화군이 애초 돼지열병의 시발점일 거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돼지열병 잠복기가 20일 안팎인 점을 감안하면, 강화에서 처음 발생한 돼지열병이 앞서 확진된 파주시나 연천군 등에 전파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김준영 농어업정책포럼 동물방역복지분과 위원장(수의사)은 “강화에서는 겨우 두 마리를 키우는 농가에서 임상 증상이 나타났고, 다른 지역과 달리 모돈이 아닌 비육돈에서 감염이 발생해 이미 상당히 오래 전부터 바이러스가 퍼졌을 걸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강화에 집중 발생하는 아프리카돼지열병. 그래픽=송정근 기자
강화에 집중 발생하는 아프리카돼지열병. 그래픽=송정근 기자

◇”환경부 바이러스 검사 허술” 지적도

강화가 우리나라 돼지열병의 시발점일 경우, 추가 확산 방지를 위해서는 이 지역에 돼지열병 ‘버퍼존’을 만들어야 한다는 제안도 나온다. 김 위원장은 “강화 전역과 접경지역 반경 10km 정도까지 아예 돼지 농가가 없도록 만드는 방안도 강구해야 한다”며 “살처분과 별도로, 증상이 안 나타난 돼지도 정부가 수매해 도태시킬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하천 등 수계를 통해 강화에 돼지열병 바이러스가 전파됐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강화도 본섬이 아닌 섬의 서쪽 석모도까지 번진 점을 감안하면 북한으로부터 바이러스가 임진강 등을 통해 내려왔을 가능성에 전문가들은 무게를 싣고 있다. 서정향 건국대 수의학과 교수는 “북한에서 감염된 야생 멧돼지의 바이러스나 살처분한 돼지들의 침출수에 섞인 바이러스가 하천으로 유입돼 끝 지점인 강화도에 내려왔을 가능성이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환경부는 그러나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이 23일부터 26일까지 경기 포천, 연천, 파주, 김포를 가로지르는 한탄강(6곳), 임진강(11곳) 및 한강하구(3곳) 등 20개 지점에서 하천수를 채취해 돼지열병 바이러스를 분석했지만 바이러스가 검출된 곳은 단 한 곳도 없었다고 이날 밝혔다. 북한과의 연관성에 선을 그은 셈이다.

하지만 서 교수는 “수계 전파 여부를 확인하려면 하천수뿐 아니라 진흙 등 토양도 함께 조사해야 한다”며 “2,000곳을 검사해도 모자를 판에, 20곳만 했다는 것은 눈 가리고 아웅 격”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조사를 수행한 정원화 국립환경과학원 생물안전연구팀장은 “일반적인 수질 조사에 비해 조사 지역 수가 적다고 말하긴 어렵다”며 “30일부터 강화 지역을 포함해 2차 조사에 들어가는 등 추가 조사도 할 계획”이라고 해명했다.

세종=이대혁 기자 selected@hankookilbo.com

고경석 기자 kav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