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촛불 반일집회, 질서정연한 항의로 공감대… 일본 양심세력과 연대하자”
알림

“촛불 반일집회, 질서정연한 항의로 공감대… 일본 양심세력과 연대하자”

입력
2019.08.04 19:05
수정
2019.08.05 00:24
8면
0 0

일장기 소각 등 과격한 행동 없어… 국제사회로 외연 확대

[저작권 한국일보] 3일 저녁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아베규탄 시민행동 주최로 열린 '역사왜곡, 경제침략, 평화위협 아베정권 규탄 3차 촛불문화제'에 참석한 시민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홍인기 기자
[저작권 한국일보] 3일 저녁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아베규탄 시민행동 주최로 열린 '역사왜곡, 경제침략, 평화위협 아베정권 규탄 3차 촛불문화제'에 참석한 시민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홍인기 기자

국정농단을 심판했던 촛불이 이번에는 일본의 아베 정부를 향하고 있다. 특히 3일 광화문 광장에 1만5,000여명의 성난 시민들이 몰려 아베 정부의 경제 보복 부당성을 강도 높게 규탄했다.

그렇지만 집회에서 우려했던 대규모 충돌은 없었다. 아베 규탄 시민행동이 광화문광장 일대에서 개최한 대규모 반일 집회는 어느 때보다 결연하고 질서정연했다. 시위대가 일본대사관으로 몰려갔지만 일장기 소각 등 과격한 행동이나 물리적 충돌은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국정농단 촛불 집회가 질서정연하게 진행됐던 양상과도 흡사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박정은 참여연대 사무처장은 “광우병 사태와 탄핵 정국 등을 경험하면서 시민사회 역시 성장해 온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국정농단 촛불과 반일 촛불은 성격이 다르다는 평가가 없지 않다. 일부에서는 “자칫 반일 감정 일색으로 흘러가면 역사 문제는 물론, 정치ㆍ경제적 문제 해결도 어려워질 수 있다“며 신중론을 내세우기도 했다. 백장호 일제 강제동원피해자 유족총연합회장은 “일본 정부 결정에 분노하지만 한국 정부 역시 대법원 판결 이후 손 놓은 채 있다가 일본 책임만 이야기하고 있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그는 “피해자들이 일본 정부의 사과를 받고 진정한 의미의 피해를 보상받기 위해서는 단순한 반일 감정으로만은 해결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특히 집회가 과격한 양상으로 번진다면 한일 간 감정의 골만 더욱 깊게 할 뿐이라는 지적이다. 과거 반일집회에서 등장했던 ‘일장기 화형식’이 대표적이다. 2005년 일본이 ‘독도의 날’ 제정 조례안을 의결하자 서울 종로구 일본 대사관, 충북 제천 등에서 일장기를 태우는 집회 참가자들이 있었고 독도수호전국연대의 경우 여러 해에 걸쳐 ‘일장기 화형식’을 진행하려다 경찰과 마찰을 빚기도 했다.

이 때문에 과격한 집회로 집회로 변질되지 않도록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일본 전문가들은 “시민사회에서 분노가 터져 나오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면서도 “일본 사회 전체를 배제하는 방향으로 가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이와 함께 시민사회단체나 전문가 그룹에서는 촛불의 외연을 확대하는 방안을 조언하고 있다. 특히 일본의 양심을 대표하는 시민사회단체와 연대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아베 반대 투쟁’이 가능하다는 지적이다. 하종문 한신대 일본학과 교수는 “반일 촛불집회가 한국 대 일본의 민족주의적 충돌로 가서는 안 된다”면서 “일본 군국주의에 반대하는 일본 내 시민과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대원칙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남기정 서울대 일본연구소 교수는 “일본 국민 과반이 아베의 평화헌법에 반대한다는 사실에서 드러나듯이 일본에는 반전(反戰) 의식을 지닌 이들이 상당수”라며 구체적인 연대 대상까지 지목했다.

촛불집회가 확산되는 국내 분위기에 맞춰 일본의 양심도 움직이기 시작한 만큼 한일 연대 가능성은 충분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실제 와다 하루키(和田春樹) 도쿄대 명예교수가 지난 25일부터 ‘한국은 적인가’라는 제목의 인터넷 사이트를 개설해 광복절까지 사회지도층에 대한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철회 촉구 서명운동에 나섰다. 지난달 29일 기준 78명의 교수, 언론인 등이 서명에 참여했다. 시민사회에서는 이미 일본 내 양심적 지식인 및 시민단체들과 접촉해 가며 15일 광복절에 제시할 메시지를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 사무처장은 국내서 시작한 수요집회에 일본 동참을 이끌어낸 사례를 거론하며 “앞으로 동북아 평화 협력구조를 역제안하는 등 한국이 국제사회에 메시지를 던질 때 이렇게 일본 시민사회와 공감의 장을 만들어두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말했다.

정준기 기자 joon@hankookilbo.com

제보를 기다립니다

안녕하세요 제보해주세요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