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연평균 소득은 가구당 7,369만 원
서울시민의 가구당 평균 자산은 9억5,361만 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대출을 보유한 1인 가구 중 23%는 ‘연소득 대비 부채잔액비율(DTI)’이 300% 이상으로 부채상환 위험이 상당한 걸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22일 서울에 거주하는 382만 가구(740만 명)의 주거ㆍ소비ㆍ금융 패턴 등 빅데이터를 분석한 '서울시민 라이프스타일 재현데이터'를 공개했다. 재현데이터를 개발ㆍ공개한 건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서울시가 처음이다. 이번에 적용된 재현데이터는 2022년 3분기 기준 신용정보를 가진 만 18세 이상 서울시민 740만 명의 통계적 특성을, 개인정보를 가린 10%(74만 명)의 데이터로 대표, 재현하는 기술이다. 개인정보를 침해하지 않아야만 데이터로 활용 가능해 이런 작업이 필요하다.
재현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시민 가구당 총자산 평가액은 평균 9억5,361만 원이고, 평균 대출금액은 9,210만 원이었다. 연평균 소득은 가구당 7,369만 원이었다. 대출을 보유한 1인 가구 약 62만 명 중 23.2%는 DTI가 300% 이상으로 집계됐다. 예를 들어 연 소득 5,000만 원인 직장인이 은행에서 1년간 빌린 대출 금액이 1억5,000만 원으로 부채상환 능력이 위험하다는 의미다. 다인가구 140만 가구 중 부채상환 위험이 높은 가구 비중은 약 13.3%로 조사됐다.
윤충식 서울시 빅데이터담당관은 "1년여간의 준비 끝에 개발한 서울시민의 재현데이터는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활용 사이 균형을 찾는 새로운 시도"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돼 서울시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