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연휴 때 마스크 챙기세요”… 동남아 코로나19 재확산 주의보
알림

“연휴 때 마스크 챙기세요”… 동남아 코로나19 재확산 주의보

입력
2023.12.14 20:00
14면
0 0

태국·인니·말레이 등 확진자 2배↑
싱가포르 "봉쇄령 나올 것" 루머도
긴 연휴 관광객 몰리며 확산 가능성

올해 1월 태국 방콕에서 관광객들이 마스크를 쓴 채 거리를 걷고 있다. 방콕=EPA 연합뉴스

올해 1월 태국 방콕에서 관광객들이 마스크를 쓴 채 거리를 걷고 있다. 방콕=EPA 연합뉴스

동남아시아에서 코로나19가 재확산하면서 각국 보건당국이 잔뜩 긴장하고 있다. 감염자 수가 일주일마다 1.5~2배씩 급증하자, 공항 등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선 체온 측정기와 마스크가 다시 전면에 등장했다. 연말연초 휴가철을 맞아 동남아 여행을 계획 중이라면 주의가 요구된다.

14일 싱가포르 스트레이트타임스 등에 따르면, 이달 초부터 동남아 국가들에서 코로나19 감염자가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말레이시아 보건부는 지난주(3~9일) 코로나19 감염 사례가 1만3,000건으로 전주(6,796건) 대비 2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2주 전 주간 확진은 3,626건이었다. 매주 100%씩 급증하는 모양새다.

싱가포르 상황도 다르지 않다. 지난달 26~이달 2일 확진자는 3만2,035명으로 일주일 전(2만2,094명)보다 50% 늘었다. 같은 기간 일일 평균 입원 건수 역시 136건에서 225건으로 증가했다. 싱가포르 보건부는 연말 모임과 여행이 늘면서 감염병이 기승을 부린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확진자 증가세에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한창이던 2020년처럼 봉쇄령이 내려질 것이란 소문까지 번졌다. 시민 불안이 커지자 로렌스 웡 싱가포르 부총리는 11일 “정부가 서킷 브레이커(일시 봉쇄 정책)를 재발동할 것이라는 잘못된 정보가 돌고 있다. 거짓 정보를 경계해 달라”고 해명했다.


지난해 7월 태국 수완나품 국제공항에 위치한 태국 신화 속 거인 동상에 마스크가 씌워져 있다. 방콕=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지난해 7월 태국 수완나품 국제공항에 위치한 태국 신화 속 거인 동상에 마스크가 씌워져 있다. 방콕=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다른 나라도 상황은 비슷하다. 인도네시아 보건국은 10일 수도 자카르타 확진자가 271명으로 일주일 전(80건)보다 200% 증가했다고 정부에 보고했다. 태국 질병통제국은 3~9일 입원 환자가 590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티라 워라따나랏 쭐랄롱꼰대 박사는 “현재 태국 우세종은 면역 회피력이 강한 피롤라(BA.2.86) 변이”라며 “태국은 ‘입원 환자’만 신규 감염자로 집계하는데,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실제 감염자는 훨씬 더 많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코로나19 사망자가 속출했던 악몽의 재발을 우려하며 검역 수위도 높이고 있다. 인도네시아와 싱가포르는 국제공항과 국경검문소, 여객터미널 등 외국인 유입이 많은 곳에 열 감지기를 다시 설치했다. 지난해 초 자취를 감춘 지 약 2년 만이다.

내닝 누그라히니 인도네시아 공항항만보건국장은 현지 안타라통신에 “모든 항공사에 (코로나19) 건강 규약(프로토콜)을 시행하라고 권고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시민들에게도 외출 시 마스크를 착용하고 확진자가 늘어난 지역 방문은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말레이시아 보건부는 기저질환자나 건강 취약계층에 백신 접종을 권한다는 방침이다.

고비는 이달 말부터 이어지는 연휴다. 한국뿐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관광객들이 겨울 한파를 피해 따뜻한 동남아로 향한다. 감염병이 인근 아시아 국가는 물론, 다른 지역으로까지 퍼지는 매개가 될 수 있다는 의미다. 시티 나디아 타르미지 인도네시아 보건부 대변인은 “모든 사람이 여행 중 또는 고국으로 돌아가 코로나19 감염원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 달라”고 강조했다.

하노이= 허경주 특파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