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나무 심어 탄소 감축' 유행시킨 교수 "내가 너무 순진했다"

알림

'나무 심어 탄소 감축' 유행시킨 교수 "내가 너무 순진했다"

입력
2023.11.15 04:30
0 0

"숲에 탄소 2000억톤 저장 능력"
논문 빌미 산업계 저감 노력 회피
"화석 연료 늘 땐 숲도 무용" 발표

2018년 토머스 크로서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 생태학과 교수가 대학 연구실에서 연구 과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교수 연구실 유튜브 캡처

2018년 토머스 크로서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 생태학과 교수가 대학 연구실에서 연구 과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교수 연구실 유튜브 캡처

“나는 너무 순진했다. 자연이 잘못 이용될 수 있다는 게 두렵다.”

4년 전 ‘숲의 탄소 저장 능력’에 대한 논문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던 학자는 13일(현지시간) 이같이 말했다. 논문은 "숲에 인간이 과잉 배출한 탄소 3분의 1을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내용이었다. 삼림을 보존해 기후변화를 막을 수 있다는 그의 주장은 전 세계의 ‘나무 심기 열풍’을 촉발했다.

논문 저자는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 생태학과의 토머스 크로서 교수. 그는 4년 만에 “나무 심기는 결코 탄소 감축의 대안이 될 수 없다”며 자신의 주장을 사실상 뒤집었다고 이날 영국 가디언과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전했다. 어째서일까.

'탄소 저장 능력' 논문에 산업계 화색

지난 1월 브라질 아마존 유역 파라주(州)에서 불법 벌채된 수목이 마구잡이로 흐트러져 있다. 파라=로이터 연합뉴스

지난 1월 브라질 아마존 유역 파라주(州)에서 불법 벌채된 수목이 마구잡이로 흐트러져 있다. 파라=로이터 연합뉴스

크로서 교수는 2019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게재한 논문에서 "숲의 탄소저장 잠재력이 2,050억 톤에 달한다.(숲을 비롯한) 생태계 복원은 기후위기 완화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주장했다. 여기에 가장 열렬히 반응한 건 산업계였다. 세계경제포럼(WEF)은 ‘1조 그루 (나무 심기) 연합’을 결성했고, 기후위기 자체를 부정하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후원까지 받아냈다.

나무 심기는 탄소 배출의 면죄부가 됐다. 기업들은 나무를 심은 만큼의 탄소 배출권을 '글로벌 탄소 배출권 거래 시장'에서 구매했다. 탄소 배출권 거래량은 2020년 5,780만 톤에서 지난해 2억2,770만 톤(13억2,750만 달러·약 1조7,500억 원어치)으로 치솟았다.

나무 심기 유행은 학계와 환경단체의 반발을 샀다. 삼림 사업의 효과가 부풀려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바바라 하야 미국 UC버클리 교수는 세계 곳곳의 삼림 보전 사업 17개를 분석한 결과 탄소 흡수량이 최소 13배 과장됐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탄소 감축 효과가 없는 커피 농장과 목재 펄프 농장을 세우고 탄소 배출권을 받아 간 사례도 있었다.

나무 심기 비용이 기업들이 저탄소 설비로 전환하는 비용보다 훨씬 저렴한 것도 문제였다. 나무 심기가 저탄소 설비 전환을 회피할 수단이 됐기 때문이다. 크로서 교수는 “자연이 이용당했다”며 “자연엔 기후위기를 막을 놀라운 능력이 있지만 지구를 더 망치는 명분으로 자연을 활용하면 되레 황폐화될 것”이라고 NYT에 말했다.

"숲이 늙어서 탄소를 저장하도록 하라"

숲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숲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크로서 교수가 삼림의 가능성까지 포기한 건 아니다. 그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숲의 탄소 저장 능력이 2,260억 톤에 달한다’는 내용의 또 다른 논문을 게재했다. 4년 전보다 예상 저장 능력이 110억 톤 늘었다. 그는 이번엔 나무 심기를 장려하는 대신 “화석 연료 배출량이 계속 증가하면 생태계의 탄소 저장 능력이 위협받을 것이다. 탄소 흡수 잠재력의 61%는 숲을 벌채 없이 가꾸는 것으로 확보할 수 있다”며 숲의 보존과 탄소 감축을 강조했다. 가디언은 “크로서 교수의 연구는 ‘숲이 늙어서 엄청난 양의 탄소를 저장하도록 하라’는 뜻”이라고 했다.

김현종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