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추석 이후 증시 반등' 통설에도 "이번엔 사지 말 것"... 왜?
알림

'추석 이후 증시 반등' 통설에도 "이번엔 사지 말 것"... 왜?

입력
2023.09.28 04:30
10면
0 0

미국 정부 셧다운, 파월 발언 등
연휴 기간 대형 이벤트들 줄줄이

코스피가 27일 소폭 상승 마감하며 5거래일 만에 반등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2.10포인트(0.09%) 오른 2,465.07에 거래를 마쳤다. 연합뉴스

코스피가 27일 소폭 상승 마감하며 5거래일 만에 반등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2.10포인트(0.09%) 오른 2,465.07에 거래를 마쳤다. 연합뉴스

추석연휴 앞 마지막 개장일인 27일 코스피가 결국 2,500선을 밑돌며 마감했다. 연휴 기간 예정돼 있는 대형 이벤트들의 결과에 따라 향후 국내 증시 향방을 가늠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날 양대증시는 오래간만에 동반 상승마감했다. 코스피는 2,465.07(+0.09%), 코스닥은 841.02(+1.59%)로 거래를 마쳤다. 연일 지속된 약세에 주가가 장기(200일) 평균 또는 이를 밑도는 수준으로 떨어지자 일부 투자자들이 쌀 때 주워 담는 저가매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코스피는 2,600선 초반으로 마감한 15일 이후, 코스닥은 '대장주' 2차전지주의 약세가 본격화했던 지난달 말부터 내림세를 걸었다.

최근 증시 약세는 국제유가 급등으로 인한 3%대 물가 상승률 되돌림, 미국의 고금리 장기화 선언 등 온갖 악재들이 켜켜이 쌓인 결과다. 여기에 추석 전 위험회피(헷지) 심리까지 투자심리를 말리는 데 한몫했다는 해석도 있다. 연휴 기간엔 이슈에 제때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사전정리에 나서면서 주가가 횡보 또는 약세를 보인다는 얘기다. 이날 원·달러 환율이 장중 1,356원을 찍으며 연고점을 경신했던 배경에도 헷지심리가 있다. 김승혁 NH선물 연구원은 "연휴 기간 환율이 역외 시장에서 급등할 경우 방어할 수급이 부재하다는 점은 원화 매수를 한층 더 부담스럽게 하는 요소"라고 분석했다.

대신 불확실성이 해소되는 연휴 이후에는 주가가 반등할 것이라는 게 시장의 일반적인 기대다. 이웅찬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전날 낸 보고서에서 "2010년부터 2022년까지 코스피지수 수익률 중간값을 따져봤더니, 연휴 3일 전부터 소폭 약세를 보였고 연휴 이후 7거래일까지 강세가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2010~2022년 추석 연휴 전후 코스피지수 움직임. 하이투자증권 제공

2010~2022년 추석 연휴 전후 코스피지수 움직임. 하이투자증권 제공

하지만 이번 추석 휴장은 4거래일로 2017년 이후 6년 만에 가장 긴 데다,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대형 이벤트들까지 예정돼 있어 "섣부른 기대는 금물"이라는 게 증권가의 대체적 시각이다. 가장 중량감이 큰 이벤트는 ①미국 예산안 통과 여부다. 시한인 30일까지 양당이 협의하지 못하면 미국 정부는 필수 기능을 제외하고 임시 휴업(셧다운)에 들어간다. 과거 사례를 봤을 때 셧다운 기간은 평균 8일 정도였고 증시 영향도 미미했으나, 셧다운이 없는 게 '베스트 시나리오'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셧다운이 예상 외로 장기화한다면 고용, 물가 등 통화정책과 관련된 지표들을 확인할 수 없어 증시 불안감을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②제롬 파월 의장 등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연설도 줄줄이 예정돼 있다. 최근 '월가 황제'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회장이 "연준이 기준금리를 7%로 올릴 수 있다"며 공포감을 조성한 탓에 시장은 더더욱 연준 인사들의 입에 주목하고 있다. 파월 의장은 우리 시간 29일 오전 5시 워싱턴 지역 교육자들을 대상으로 타운홀 미팅을 주재한다. '매파'적 발언이 나올 경우 미국 증시는 물론 연휴 이후 국내 증시도 출렁거릴 수 있다.

윤주영 기자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를 작성한 기자에게 직접 제보하실 수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리며, 진실한 취재로 보답하겠습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