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한국은 세계 4대 아기 수출국...부패한 입양시스템, 여전히 잘 돌아간다"

알림

"한국은 세계 4대 아기 수출국...부패한 입양시스템, 여전히 잘 돌아간다"

입력
2023.09.18 19:10
수정
2023.09.18 21:49
14면
0 0

NYT, 해외로 입양된 한인들 실태 보도
입양 수수료 5500달러…당시 연봉 수준
사산했다고 거짓말하고 아이 빼돌려

과거 해외로 입양되기를 기다리고 있는 한국 아동들의 모습. 1980년대 한국 정부로부터 해외 입양 업무를 위탁받은 민간 기관들은 아동 1명당 4,500~5,500달러의 입양비와 수수료를 해외로부터 받았다. 이 아이들은 빨랫줄에 묶인 채 항공으로 '배달'되곤 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과거 해외로 입양되기를 기다리고 있는 한국 아동들의 모습. 1980년대 한국 정부로부터 해외 입양 업무를 위탁받은 민간 기관들은 아동 1명당 4,500~5,500달러의 입양비와 수수료를 해외로부터 받았다. 이 아이들은 빨랫줄에 묶인 채 항공으로 '배달'되곤 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어릴 적 한국에서 덴마크로 입양된 미아 리 소렌슨은 지난해 한국을 찾아 충격적인 '입양의 비밀’을 알게 됐다. 소렌슨은 입양 기록을 토대로 "1987년 출산 예정일보다 먼저 태어난 그를 생물학적 부모가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입양시켰다"고 알고 있었다. 그러나 소렌슨이 어렵게 찾아내 만난 부모는 전혀 다른 이야기를 했다. “소렌슨이 사산된 줄 알고 평생을 살아왔다”는 것. 출산 도중 기절했다 깨어난 어머니에게 병원 관계자가 그렇게 말했다고 했다. “인신매매나 다름없다”고 소렌슨은 말했다.

1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한국의 해외 입양 실태를 재조명했다. 입양된 한인 12명을 인터뷰하고 최근 기밀이 해제된 미국 정부 문건을 분석한 결과 등을 바탕으로 “한국의 부패한 입양 시스템은 최근까지 별로 달라지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한국은 2021년 기준 콜롬비아, 인도, 우크라이나에 이어 세계에서 4번째로 해외 입양을 많이 보낸 국가"라는 것이다.

아이 1명당 5000달러… 연봉보다 많은 수수료

과거 한국의 한 입양기관이 해외로 가는 비행기에서 입양 대상 아동들 돌보고 있다. 국가기록원 제공

과거 한국의 한 입양기관이 해외로 가는 비행기에서 입양 대상 아동들 돌보고 있다. 국가기록원 제공

6·25전쟁 직후 한국 정부는 취약 지대 아이들을 돌보는 대신 해외로 '수출'했다. 주한미군과 한국 성노동자가 낳은 혼혈아, 고아, 한부모 가정에서 태어난 아이 등이었다. 1965년 한국 여성과 흑인 미군 사이에서 태어난 미키 우 플리펜은 어린 시절 이웃에게 당한 인종 차별을 또렷이 기억한다. 그는 10대 때 어머니가 사망하자 미국 오리건주(州)의 한 가정에 입양됐다.

NYT는 “1960년대 후반까지 해외로 입양된 아이는 대부분 한부모에게서 태어났다. 한국에서 이 아이들은 또 다른 편견의 대상이었다”고 했다.

복지 비용이 아까웠던 정부는 해외 입양을 활성화했다. 입양 절차를 간소화했고 홀트아동복지회 등 민간기관 4곳에 입양 업무를 위탁한 뒤 입양 수수료를 기관이 챙길 수 있도록 했다. 1980년대 입양아 1인당 입양비·수수료는 4,500~5,500달러로 1인당 평균 국민소득보다 많았다.

NYT는 한국 국가기록원 문서를 인용해 "입양기관들은 (더 많은 입양아를 확보하기 위해) 고아원과 병원 등에 현금과 선물을 나눠 줬다"고 전했다. 아동을 항공편으로 '배송'하는 시스템도 개발됐다.

"강압·뇌물·서류조작·신원 세탁 있었다"

이 과정에서 소렌슨 같은 불법 입양 피해자가 발생했다. "서류에는 ‘고아’로 적혀 있지만 생물학적 어머니와 시장에 갔다가 납치된 기억이 난다", "삼촌이 내 아버지의 허락도 없이 나를 덴마크로 입양 보내면서 이름을 비롯한 정보를 날조했다는 사실을 30년 뒤에야 알게 됐다" 같은 증언이 NYT에 실렸다.

지난해 8월 덴마크한국인진상규명그룹(DKRG)의 피터 뭴러(한국명 홍민·49) 공동대표가 서울 중구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청사 앞에서 해외 입양 인권침해와 관련한 조사 신청서를 낸 뒤 입장을 밝히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지난해 8월 덴마크한국인진상규명그룹(DKRG)의 피터 뭴러(한국명 홍민·49) 공동대표가 서울 중구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청사 앞에서 해외 입양 인권침해와 관련한 조사 신청서를 낸 뒤 입장을 밝히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덴마크한국인진상규명그룹(DKRG)의 피터 뭴러(한국명 홍민·49) 공동대표는 “1970~1990년대 덴마크로 한국 아이들이 대거 입양되는 과정에서 뇌물수수, 서류조작, 입양아 신원 세탁, 입양 강요 등 불법행위가 발생했다”며 한국 정부의 본격적인 조사를 촉구했다. 지난해 12월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는 한국 정부의 해외 입양 인권침해 조사를 시작했지만 정부와 정치권은 대체로 무관심하다.

김현종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