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김정은-푸틴 만남에 '관망' 제스처 지속
우크라 전쟁 이후 러시아와의 군사 협력 조심
'북·중·러 3자 연대' 구도도 외교적 부담 가중
일본 "북러 군사 교류 우려하며 주시" 반응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정상회담에 전 세계 이목이 쏠리는 반면, 오히려 두 나라의 대표적 우방인 중국은 '관망'에 가까운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을 '러시아의 뒷배이자 북한의 후견국'으로 보는 미국·유럽의 견제에 시달려 온 터라,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이 북중러 3국 간 밀착 강화로 비치는 데 대해 외교적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풀이된다.
서방의 안보 전문가들은 북러 정상회담이 '북중러 3국의 군사적 연대'로 당장 확대될 가능성은 적다고 본다. 미국 안보 전문 싱크탱크인 군비통제·비확산센터의 존 에라스 정책국장은 12일(현지시간) 미국의소리(VOA) 인터뷰에서 "중국은 자국 안보를 위해 북·러와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겠지만, 북중러가 하나인 것처럼 보일 수 있는 3국 연합 군사훈련 등은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레이프 에릭 이즐리 이화여대 교수도 로이터통신에 "북한 지도자는 '신냉전'의 지정학을 활용하겠다는 심산으로 러시아를 찾았다"면서도 "북중러 사이의 불신도 여전해 합동 군사훈련 수준의 협력엔 도달하지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북중러가 단일 진영이란 시각 회피"
이 같은 신중론은 중국이 북러와의 군사적 협력 강화에 힘을 보탤 상황이 아니라는 분석에 기인한다. 중국은 지난해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에 무기를 제공하지 말라'는 서방의 압박을 받아 왔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올해 3월 모스크바를 방문, 푸틴 대통령을 만나 중러 간 경제·무역 분야 협력 수준을 끌어올렸으나, 군사적 지원엔 선을 그었다. 게다가 중국은 '우크라이나 전쟁 중재자'를 자처하고 있다. 서방의 거센 반발이 예상되는 북러 간 전략적 연대에 가담할 이유가 크지 않다는 얘기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김 위원장의 방러로) 자칫 '북중러는 단일 진영'이라는 이미지가 확산되면 중국의 대외 정책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북러의 군사 협력이 한미·한미일 간 연합훈련 강화의 명분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도 중국으로선 부담을 느낄 법한 대목이다.
중국 매체 "북러 협력은 한미 훈련 탓"
실제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2일 '김 위원장 방러에 대한 중국 정부의 입장이 무엇이냐'라는 질문에 "북러 양국 간 사안"이라고 답했다. 북러 간 군사협력 강화 흐름에 엮이지 않겠다는 태도로 읽힌다.
중국 매체들도 "미국이 동북아시아 역내의 긴장감을 상승시킨 주범"이라는 논조로만 보도하고 있다.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12일 "중국 전문가들은 서방이 북러 양국에 대한 고립 정책을 사용하고 있으며, 두 나라는 이를 상쇄하기 위해 협력 강화를 추진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리하이둥 중국 외교학원 교수는 "북러의 긴밀한 협력은 잦은 한미 연합훈련의 결과"라며 "한미 훈련이 동북아 지역에서 점차 더 많은 분열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제3자적 시각을 취하면서 미국에 화살을 돌린 셈이다.
일본 "안보리 결의 위반, 우크라 전쟁 영향 등 우려"
이날 북러 정상회담이 끝난 뒤 일본은 '우려 표명' 수준의 원론적 반응만 보였다. 일본 외무성 간부는 NHK방송에 "단지 친선 교류가 아니라, 군사적 측면이 강한 회담이 아니었을까 우려하고 있다. 무기 조달이나 물류 등 무엇이 논의되고 바뀌는지, 동향을 주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정부 관계자도 "북한으로부터 무기 등을 조달받는 걸 전면 금지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으로 이어질 가능성,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영향 등에 대한 우려를 갖고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미일 3국 제휴를 통해 대응할 방침도 내비쳤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