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간토 조선인 학살 100년인데... 한일 정상, '침묵'으로 외면
알림

간토 조선인 학살 100년인데... 한일 정상, '침묵'으로 외면

입력
2023.09.02 04:30
0 0

조선인 학살 문제 일절 언급 안 해
한일 시민들은 추도식·집회 '열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1일 도쿄 총리 관저에서 실시된 재난 대비 훈련에 참가해 발언하고 있다. 이날은 100년 전 10만여 명이 사망한 간토대지진이 발생한 날로, 일본에선 '방재(재난 대비)의 날'로 지정돼 있다. 도쿄=AP 뉴시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1일 도쿄 총리 관저에서 실시된 재난 대비 훈련에 참가해 발언하고 있다. 이날은 100년 전 10만여 명이 사망한 간토대지진이 발생한 날로, 일본에선 '방재(재난 대비)의 날'로 지정돼 있다. 도쿄=AP 뉴시스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간토 학살)이 100년을 맞은 1일,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둘 다 ‘침묵’으로 외면하기만 했다. 이날 한일 양국 곳곳에서 추도식과 집회가 개최돼 많은 시민이 희생자를 추모하고 진상 규명을 요구했음에도 양국 정상은 이 문제를 전혀 언급하지 않은 것이다.

1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도쿄 총리 관저, 가나가와현 사가미하라시에서 열린 재난 대비 훈련에 참가해 “간토대지진의 기억을 잊지 않아야 한다”며 “(재난 발생 시) 무엇보다도 인명을 제일 우선시하겠다”고 밝혔다. 간토대지진이 일어난 9월 1일은 일본에선 ‘방재(재난 대비)의 날’로 지정돼 있다. 대지진을 교훈 삼아 재난 대비 훈련이 곳곳에서 실시된다.

기시다 총리는 그러나 이날 간토대지진을 ‘재난 대비의 교훈’으로서만 언급했을 뿐, 1923년 당시 일본 정부가 유언비어를 유포하고 군경 및 자경단이 수천 명의 조선인을 학살한 사실에 대해선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도 전날 간토 학살에 대한 질문에 “자료가 없다”는 입장만 되풀이하며 학살 사실을 인정하려 하지 않았다.

윤석열 대통령 역시 간토 학살 문제에 대해선 아무런 발언도 내놓지 않았다. 오히려 이날 국립외교원 60주년 기념식에 참석한 자리에서 또다시 ‘공산 전체주의 세력’과 ‘반국가 세력’을 언급하며 이들이 “반일 감정을 선동한다”고 비난하기만 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1일 서울 서초구 국립외교원에서 열린 국립외교원 60주년 기념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1일 서울 서초구 국립외교원에서 열린 국립외교원 60주년 기념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한일 정상의 철저한 외면과 대조적으로, 간토 학살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한일 시민의 열기는 뜨거웠다. 이날 오전 11시 도쿄 스미다구 요코아미초 공원에 있는 위령비 앞에서 열린 조선인 희생자 추도식에는 섭씨 30도를 크게 웃도는 더위에도 예년보다 훨씬 많은 수백 명이 참가했다. 같은 곳에서 이날 오후 일본 우익 단체가 희생자를 모욕하는 집회를 개최하려 했으나, 일본 시민들이 “돌아가라”고 외치며 결국 무산시키기도 했다.

이어 오후 7시에도 도쿄의 일본 국회 앞에서 한일 시민 수백 명은 촛불집회를 열고 일본 정부의 사과와 진상 규명을 요구했다. 전날 도쿄 분쿄구에서 열린 희생자 추모 행사도 1,800개 좌석이 빈틈없이 들어찼다. 추모식과 학자들의 콘퍼런스 등은 2, 3일에도 계속 이어진다.

도쿄= 최진주 특파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