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G2 리스크' 한국 경제 덮친다... "깊고 오래, 저성장 고착화 우려"

알림

'G2 리스크' 한국 경제 덮친다... "깊고 오래, 저성장 고착화 우려"

입력
2023.08.18 04:30
1면
0 0

中, 디플레이션에 수출 부진 장기화 우려
美, 고금리 기조는 환율 끌어올려 타격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무역전쟁을 벌이며 때마다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키워온 ‘G2(미국‧중국) 리스크’가 또 다른 모습으로 한국 경제를 집어삼키고 있다. 침체 초입에 들어섰다는 중국과 과열된 경기에 놓인 미국의 상반된 흐름이 한국 경제에 수출 부진과 고환율‧고물가 먹구름을 몰고 오고 있다.

17일 정부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 하락) 우려까지 제기된 중국 경제 상황을 주의 깊게 보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중국 경제의 향방과 미국의 금리인상 여부가 국내 실물‧금융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 안팎에서 G2를 예의 주시하는 건 비교적 ‘단기’ 위험 요인이던 G2 리스크가 ‘장기’로 확대돼, 오랜 기간 한국 경제를 옥죌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한국 경제 회복에 찬물을 끼얹은 G2 리스크는 고강도 코로나19 봉쇄 조치(중국)와 가파른 기준금리 인상(미국)이었다. 봉쇄 조치를 떨쳐낸 중국의 경제활동 재개(리오프닝)로 한국 경제 역시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했으나, 최근 중국 경제지표는 모두 침체를 가리키고 있다. 일본과 같은 장기 불황에 들어설 수 있다는 경고까지 나올 정도다.

한때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한 중국의 수출은 5월부터 석 달 연속 줄었고, 내수 부진에 수입액도 지난해 10월 이후 줄곧 뒷걸음질 치고 있다. 지난달엔 물가 상승률이 2년 5개월 만에 하락해 디플레이션 수렁으로 빠져들고 있다. 중국 대형 부동산개발업체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의 채무불이행 위기까지 불거진 상황이다.

중국 경제는 부동산 비중이 국내총생산(GDP)의 20% 후반에 육박한다. 이번 사태가 부동산경기 침체 장기화→부동산개발업체 연쇄 부도→금융기관 부실→실물경제 전이→장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이형석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국 경제 부진이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렵고, 오히려 갑작스러운 위기로 번질 수 있다”며 “국내 금융‧실물 경제로의 위기 전이 가능성도 점차 높아지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중국 경제 부진이 장기화하면 수출 개선을 통한 경기 반등을 노렸던 한국 경제 역시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한국 수출의 대중국 의존도는 2018년 26.8%로 최고점을 찍은 뒤 꾸준히 하락해 올해 1분기 19.5%까지 내려왔으나 여전히 1위다.

경기 호조세가 불러온 미국의 ‘긴축 장기화’ 역시 한국 경제 불안을 키우는 요인이다. 앞서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는 '연말 완만한 경기침체 전망’을 철회하면서 추가 금리인상이 필요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더 미뤄질 수 있다는 뜻이다.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더라도 현재의 고금리 기조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금리인상 가능성과 중국 경기 후퇴에 따른 위안화 약세는 ‘킹달러의 귀환’을 부추기고 있다. 그 여파로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5.1원 오른 1,342원에 마감했다. 장중엔 연고점(1,343.0원)도 넘어섰다.

환율 상승은 최근 한 달 사이 10% 넘게 뛴 국제유가 급등세와 맞물려 수입 물가를 끌어올리고, 이는 국내 물가 불안으로 이어진다. 미국 금리는 그대로인데 한국만 낮출 수 없기 때문에 국내 소비와 기업 투자 위축도 불가피하다. 중국발 수출 부진으로 기업 실적이 악화하는 것도 소비‧투자에 악재다. G2 리스크가 수출‧내수의 동반 부진을 초래할 공산이 크다는 얘기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어려운 경제 상황이 계속될 수 있다”며 “2% 안팎인 잠재성장률을 밑도는 저성장 기조가 고착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세종= 변태섭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