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얼마나 불이익 받으며 자랐나'로 의대생 선발...미국 대학 파격 실험
알림

'얼마나 불이익 받으며 자랐나'로 의대생 선발...미국 대학 파격 실험

입력
2023.07.04 04:30
17면
0 0

'부·학벌 대물림'에 메스 뽑아든 UC 데이비스
가구 소득·부모 학력 낮고 소외 지역에 가산점
대법서 폐기된 '소수인종 우대'의 대안 될 수도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 데이비스) 병원에서 다양한 인종의 의사·의대생들이 모여 웃고 있다. UC 데이비스 홈페이지 캡처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 데이비스) 병원에서 다양한 인종의 의사·의대생들이 모여 웃고 있다. UC 데이비스 홈페이지 캡처

미국 연방대법원이 ‘소수인종 우대 대입 정책’(어퍼머티브 액션)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린 가운데, 한 명문 의과대학의 독특한 입시 제도가 주목받고 있다. 입학 지원자가 살아오면서 경험했던 사회경제적 불이익을 점수로 환산해 가점을 주는 것으로, 시행한 지 10여 년밖에 되지 않았지만 긍정적 효과는 벌써부터 가시화하고 있다. 캘리포니아주(州)의 교육 도시 데이비스에 있는 ‘캘리포니아대 데이비스 캠퍼스(UC 데이비스)’ 의대 얘기다. 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대법원 판결 이후 많은 대학교가 UC 데이비스의 ‘파격적 실험’을 새로운 대안으로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입시에서 역경이 오히려 '가산점' 항목

NYT에 따르면, UC 데이비스 의대의 신입생 선발 과정에는 일반적인 성적이나 면접뿐만 아니라, ‘역경점수(Adversity Scores)’라는 별도의 채점 항목이 있다. 2012년 이 학교가 직접 개발·시행한 사회경제적 불이익 척도(SED) 점수다. 최저 0점부터 최대 99점까지여서 합격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적 변수가 되기도 한다. 마크 헨더슨 입학처장은 “얼마나 많은 역경을 딛고 이 자리에 왔는지를 평가에 반영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SED는 지원자의 △가구 소득 △출신 지역 △가족 부양 여부 △부모의 대학 진학 여부 등으로 평가된다. 가난한 가정, 소외된 지역 출신일수록 유리하다. 대부분의 미국 대학교가 동문 자녀를 우대하는 ‘레거시(legacy)’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반면, 이곳에서 동문 의료인의 자녀는 ‘0점’을 받는다. 오히려 부모가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지원자의 점수가 더 높다. 이른바 ‘명문대 엘리트 학과’인데도, 다른 학교들과는 정반대 기준으로 가산점을 부여하는 셈이다.

대부분 의사는 대도시 출신·부자·엘리트... "환자와의 괴리"

의사(오른쪽)와 환자가 마주 앉아 상담을 하고 있는 모습을 그린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의사(오른쪽)와 환자가 마주 앉아 상담을 하고 있는 모습을 그린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이 같은 입시 제도의 목적은 의사 사회의 ‘다양성 확보’에 있다. 미국의과대학협회의 조사 결과, 의대생의 절반 이상이 소득 상위 20% 가정 출신이고, 하위 20% 가정 출신은 4%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의 자녀는 또래 학생들보다 의사가 될 확률이 24배나 더 높았다. 게다가 대부분의 의사가 주요 대도시 또는 부유한 엘리트 가정 출신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부의 대물림’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다. 헨더슨 처장은 “신입생 선발 과정에서부터 의사와 대중 사이에 엄청난 경제·심리적 격차가 생기는 것”이라고 짚었다.

통계상 인종별 격차도 뚜렷하다. 미국 개업 의사 중 흑인은 약 6%에 불과하다. 미국 인구 중 흑인 비율(13.6%)의 절반도 되지 않는다. 히스패닉(라틴계) 의사도 약 7%뿐이다. NYT는 “소수인종 우대 대입 정책이 연방대법원의 위헌 결정으로 폐지되면서 그 수는 더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의료계는 그러나 ‘의료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다양한 배경·출신의 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제스 에렌펠드 미국의학협회장은 “환자들이 비슷한 배경을 가진 의사들한테 치료를 받았을 때 더 만족도가 높았고, 상태도 호전됐다”고 강조했다.

소외 지역 인프라 확보도 관건이다. UC 데이비스 의대의 주요 목표 중 하나도 ‘지역사회로 돌아갈 의사 양성’에 있다. 미국 원주민 ‘촉토’ 부족 출신 재학생 엘리너 애덤스는 “(가족 등의) 지원을 거의 받지 못한 나에게 의대는 원래 선택지에 없었던 곳”이라며 “졸업 후 인디언 건강 서비스의 의사가 될 것”이라고 NYT에 말했다.

미국의 '부·학벌 대물림' 극복할 대안 될까

1일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하버드대 캠퍼스에서 시위대가 미국 연방대법원의 '소수인종 우대 입학' 위헌 결정에 항의하고 있다. 케임브리지=AFP 연합뉴스

1일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하버드대 캠퍼스에서 시위대가 미국 연방대법원의 '소수인종 우대 입학' 위헌 결정에 항의하고 있다. 케임브리지=AFP 연합뉴스

‘역경점수’ 제도로 현재 UC 데이비스는 미국 의대 가운데 다양성을 가장 많이 확보한 곳이 됐다. 지난해 신입생 133명 중 흑인과 히스패닉이 각각 14%, 30%로, 전국 의대생의 해당 비율(10%, 12%)을 웃돌았다.

다른 대학들도 이제 폐지 수순을 밟게 된 소수인종 우대 정책의 대체 방안으로 SED를 주목하고 있다. 한국의 고질적 사회 문제이기도 한 '부와 학력의 대물림'을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법원 판결 후 UC 데이비스에 역경점수와 관련해 더 많은 정보를 요청한 대학교는 20곳이 넘는다고 NYT는 전했다.

이유진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