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MBTI·혈액형·사주, 믿지 말아야지 하면서 또 보는 이유 [터치유]

입력
2023.05.23 16:22
수정
2023.08.01 17:46
0 0

[1분 심리학] <25> 바넘·포러 효과
보편적 성격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
과학 검증된 도구는 신뢰…전문가 해석 들어야

편집자주

복잡하고 어려운 심리학을 쉽게 풀어드립니다. 알고 나면 더 잘 보이는 나의 마음. 딱 1분만 투자해서 내 마음 더 잘 알아가볼까요? 연재 구독, 혹은 기자 구독을 누르시면 유용한 용어 안내를 빠짐없이 보실 수 있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혈액형, 별자리, 운명론, 사주(四柱), 애니어그램,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 각종 심리테스트 등. 우리는 나와 타인의 성격을 알아보기 위해 여러 도구를 사용하곤 합니다. 이를 위해 몇만 원이 훌쩍 넘는 비용을 자발적으로 지불하곤 하죠.

이처럼 다양한 원리를 동원해 성격 및 심리를 측정·분류하는 관행을 두고 이견도 많습니다. 어떻게 80억 인구를 단순히 4가지(혈액형)로 나눌 수 있냐는 반문부터 출생월 별자리 12가지, MBTI 16가지 유형도 분류치곤 너무나 단순하다는 지적들 말입니다. 가장 '경우의 수'가 많다는 사주는 어떨까요. 연(60), 월(12), 일(60), 시(12)를 곱해 총 51만8,400개의 경우의 수가 있다고 하지만 인간은 51만 개의 수보다 훨씬 복잡합니다.

인간의 DNA는 10억 개의 뉴클레오티드(Nucleotide)가 이중나선형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요. 이 패턴은 일란성쌍둥이를 제외하곤 사람마다 모두 다른 조합을 갖고 있습니다. 최소 10억 개로 나뉘는 각각 다른 개체의 인간을 혈액형이나 MBTI, 사주 등으로 쉽게 판단하고 정의하는 게 맞을까요. 그것도 몇 가지 질문이나 선천적인 요소로 말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상하게도 이런 검사를 하면 '맞네, 맞아'라며 무릎을 탁 치곤 합니다. 아무도 모를 거라 생각한 나의 내면을 꿰뚫어보는 듯한 해석에 격하게 공감하곤 하죠.

심리학에서는 이런 현상을 '바넘 효과(Barnum Effect)' 또는 '포러 효과(Forer Effect)'라 부릅니다.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이라 여기는 심리적 경향을 뜻하는데요.

바넘은 19세기 미국의 유명한 쇼맨 폴 바넘의 이름을 따왔습니다. 그는 유명 서커스 설립자이자 미국의 원조 엔터테인먼트 사업가죠. 포러는 심리학자 버트럼 포러의 이름에서 유래됐습니다. 포러는 1948년 제자들을 상대로 진행한 성격 테스트 실험에서 누구에게나 적용될 수 있는 묘사를 자신에게만 적용되는 것으로 받아들인다는 사실을 입증했습니다.

사실 MBTI 성격 분류나 운명을 점치는 사주쟁이들 이야기엔 애매모호한 면이 많습니다. 그렇다 보니 아이러니하게도 누구에게나 들어맞을 수 있는 말일 때가 많아지죠. '결정을 신속하게 내리지만 성격이 급해서 실수를 할 수 있습니다', '신중하지만 때로는 무모한 성격입니다', '당신의 목표 가운데 몇 가지는 비현실적입니다'와 같은 말처럼 말입니다. 이런 말은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라 사실 누구에게나 적용할 수 있죠. 'A형은 소심하다'라고 하지만 100% 소심하지 않은 인간은 없습니다. 다만 '다소'라는 애매한 수사를 써서 자신에게만 해당하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이죠.

그렇다면 이 모든 측정 방식이 다 비과학적이고 이를 믿는 이들은 다 우매하다고 할 수 있을까요? 아닙니다. 전문가들은 심리과학적으로 검증된 검사도구는 신뢰해도 된다고 말합니다. 심리학 연구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검사 도구들은 공식화된 것이고 이들은 대체로 정식 검증된 검사지로 전문가에게 결과 해석을 듣기 때문입니다. "신뢰도나 타당도가 어느 정도 인정된 도구와 아닌 것들은 구분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이 강조하는 이유입니다.

이런 측정 도구들이 갖는 효용도 있습니다. 바로 나와 타인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데 있죠. '틀린 게 아니라 다른 것'임을 받아들이고 서로를 더 이해할 수 있는 효율적인 수단인 셈입니다. 이런 도구들에 지나치게 의존·맹신해 누군가를 재단하고 평가하거나 이 도구들로 모든 문제를 해결하려 들지 않는다면 말입니다. 불확실한 미래 속으로 걸어가는 인간은 늘 미래를 예측하고, 여전히 잘 알지 못하는 나를 발견하는 '도움' 그리고 '재미'가 늘 필요한 듯합니다.


그래픽=한규민 디자이너

그래픽=한규민 디자이너


치유하는 터전, 터치유

더 많은 콘텐츠를 만나실 수 있어요. (무료)
https://www.hankookilbo.com/NewsLetter/touchyou

'터치유'가 한국일보의 디지털 프로덕트 실험 조직인 'H랩(Lab)'과 함께 돌아왔습니다. 탐사선 H랩은 기존 뉴스 미디어의 한계선 너머의 새로운 기술과 독자, 무엇보다 새로운 성장 가능성과 만나려 합니다. H랩 시즌1 프로젝트인 '터치유'는 평범한 이웃의 비범한 고민 속, 마음 돌봄 이야기를 오디오 인터랙티브로 집중도 높게 들려드립니다.

※ 콘텐츠 추천 · 안내가 유용하셨나요? 자세한 상황은 꼭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독자님들의 건강한 콘텐츠 이용을 위해, 해당 내용이 전문 진단과 처방을 대신할 수는 없다는 점을 정히 말씀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터치유의 '에코 라디오' Ep.4 당신도 '매우 민감한 사람'인가요…예민함이 극에 달할 때 다시 듣기 https://touchyou.hankookilbo.com/v/2023051801 (링크가 클릭되지 않으면 URL을 주소창에 입력하세요.)

에코라디오 3회 '보다' 버전. 제작=이정화 디자이너

에코라디오 3회 '보다' 버전. 제작=이정화 디자이너



손성원 기자

관련 이슈태그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