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어느 60대 노부부의 병원 이야기

입력
2023.01.29 22:00
27면
0 0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곱고 희던 그 손으로 넥타이를 매어주던 때, 어렴풋이 생각나오. 여보 그때를 기억하오."

1990년대 인기 가수 김광석은 버스 안에서 들려오는 이 노래를 듣다가 갑자기 터져 나오는 눈물을 참을 수가 없었다고 했다. 훗날 그는 그 노래를, 겨우 '서른 즈음에' 세상을 다 살아본 느낌으로 다시 불러서 세상에 널리 알렸다. '어느 60대 노부부 이야기'라는 노래 이야기다. 원작자는 블루스 가수 김목경으로 원곡은 1984년에 만들었다. 이 노래는 남편이 아내와 함께 살아온 세월에 대해 따뜻하게 반추하는 내용으로 전개되다가, 마지막에 슬픈 반전을 숨기고 있는데, 몇 해 전 인기가수 임영웅이 또다시 세상에 널리 알려버렸다. 지금 들어보면, 60대의 '노부부'가 '여보, 안녕히 잘 가시게'라며 담담하게 작별을 받아들이는 상황이 잘 이해가 안 된다. 통계청 자료를 찾아보니 노래가 만들어질 당시, 우리나라의 기대 수명은 66.1세였다. 그런 시절이었으니 60대를 노부부라고 불러도 전혀 어색하지 않았다. 인생은 60부터라는 옛날 말은 시대를 많이 앞서간 거짓말이었다. 참고로 2021년 기준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83.6세다. 불과 40년 만에 무려 20세가 늘었다.

요즘 병원에서 만나는 분들을 보면, 과거보다 연령대가 많이 높아졌다. 60대 환자는 드물고, 70대가 흔하며, 80세 이상도 많다. 만성 질병으로 내과계 진료를 보는 분들뿐 아니라, 암 수술 같은 큰 수술을 견뎌야 하는 외과계 환자도 마찬가지다. 지금 보면 60대 환자는 수술 후 회복이 그다지 걱정되지 않는 건강한 '젊은이'로 보인다. 반면 신경이 많이 쓰이는 80·90대 초고령 환자들은 꾸준히 늘고 있다. 이분들의 주 보호자도 자연스럽게 고령이다. 배우자와 자녀 모두 그렇다. 자녀들도 많아서 수술이나 항암치료 등 치료에 대한 결정 과정도 복잡하다. 중요한 결정을 스스로 해왔던 '자기주도형'인 노년을 살고 계시는 분들은 결정이 명확한 편이지만, 자녀들과 이견이 있는 경우가 많다. '난 절대로 수술 같은 거 안 받을 거야!' 같은 말씀이 그렇다. 반면, 평소에 주요 결정을 자녀들에게 맡기는 '자녀 위임형'인 경우에는 의료적인 결정도 위임하는 경우가 많다. '제가 뭘 알겠어요. 우리 아이들과 상의하세요' 같은 말씀이 그렇다.

위의 두 경우 모두 충분한 정보에 바탕을 둔 의사결정 과정을 거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의사들도 치료 방침을 정할 때, '느낌적인 느낌'으로 판단하기도 한다. 이에 대한 반성으로 요즘 큰 병원에는 노년 내과와 노인암 다학제 클리닉이 개설되어 운용되는 곳이 있다. 노인 환자의 신체 상태와 예후를 영양평가, 인지기능 평가, 운동능력 평가 등 과학적인 노인포괄평가를 통해 계량화하고, 이에 기반한 합리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거친다. 90대 노인이라도 포괄평가에서 건강한 것으로 평가되면 수술받고 회복하는 데 큰 걱정이 없고, 60대 '젊은' 노인이라도 평가 후에는 침습적 치료가 매우 위험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환자와 보호자, 그리고 다양한 분야의 의료진이 한자리에서 심층적인 의논을 하여 치료를 결정하는 과정을 거치면, 막연한 두려움으로 치료를 피하던 분들이나 덮어놓고 수술부터 하자는 분들 모두 합리적인 결정을 할 수 있는 세상이다.


오흥권 분당서울대병원 대장암센터 교수·'의과대학 인문학 수업' '타임 아웃' 저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