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이 2년 연속 민주노총을 넘어 제1노총 지위를 유지했다. 전체 노조 조합원 규모는 300만 명에 육박했고, 노조 조직률은 작년과 같은 14.2%였다.
25일 고용노동부의 '2021년 전국 노동조합 조직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노동조합 조합원 수는 293만3,000명으로 2020년(280만5,000명)에 비해 4.6%(12만8,000명) 늘어났다. 조직률은 전년도와 동일한 14.2%였는데 이는 노조를 조직할 수 있는 근로자 수도 함께 늘었기 때문이다.
노조 조직 대상 근로자는 임금근로자(2,087만1,000명) 중 노조 가입이 금지되는 공무원(정무·군인·경찰, 교정·수사 등)과 교원(교장, 교감 등)을 제외한 것으로, 지난해 조직 대상 근로자 수는 2,058만6,000명(2020년 1,979만1,000명)이었다.
노조원 수는 한국노총(123만8,000명, 42.2%)이 민주노총(121만3,000명, 41.3%)보다 많았다. 이로써 2018, 2019년 민주노총에 제1노총 자리를 내줬던 한국노총은 2020년 이를 되찾은 뒤 2년 연속 유지했다. 노동계는 양대노총 중 조합원 규모가 더 큰 곳을 제1노총으로 불러 대표성을 부여하고 있다.
노조 조직은 공공부문이나 대규모 사업장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었다. 부문별 조직률은 △공공부문 70% △민간부분 11.2%였고, 사업장 규모별 조직률은 △300명 이상 46.3% △100~299명 10.4% △30~99명 1.6% △30명 미만 0.2%였다. 특히 30명 미만 사업장은 임금근로자 수가 1,197만8,000명으로 가장 많지만, 조합원 수는 2만5,170명으로 가장 적었다.
이정한 고용부 노동정책실장은 "대규모·공공부문은 높은 노조 조직률을 지속적으로 보이는 반면, 보호가 더 절실한 소규모 영세 기업 조직률은 미미한 것이 현실"이라며 "우리 노조가 영세기업의 취약 노동자들을 대표하지 못하고 있는 만큼, 정부는 보호받지 못하는 미조직 근로자들의 보호와 노동시장 이중구조 해소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