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문외한도 5분이면 그림 뚝딱…AI가 미술계 일자리 흔들까?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문외한도 5분이면 그림 뚝딱…AI가 미술계 일자리 흔들까?

입력
2022.10.14 04:30
수정
2022.10.14 07:29
11면
0 0


기자가 지난 7일 이미지 제작 인공지능(AI) 미드저니로 제작한 이미지. /imagine이라는 명령어를 넣으면 문자 그대로 몇 분 안에 그림을 찍어낸다. 이 이미지는 /imagine A big robot in front of a Korean traditional gate라는 명령어로 제작했다. 김민호 기자

기자가 지난 7일 이미지 제작 인공지능(AI) 미드저니로 제작한 이미지. /imagine이라는 명령어를 넣으면 문자 그대로 몇 분 안에 그림을 찍어낸다. 이 이미지는 /imagine A big robot in front of a Korean traditional gate라는 명령어로 제작했다. 김민호 기자

야트막한 산을 배경으로 로봇과 정체불명의 문이 그려진 그림.

이는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 가능한 인공지능 서비스(이하 AI)인 '미드저니'가 기자의 주문에 따라 제작한 것이다. 방식은 간단했다. 해당 프로그램(디스코드)에서 '/imagine'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한 뒤 'A big robot in front of a Korean traditional gate'라는 내용을 써넣자 몇십 초 후에 그림 4장이 나와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기자가 선택한 것은 첫 번째 그림. 프로그램에 접속한 지 5분 만에 그림 하나가 뚝딱 생산된 것이다. 주문했던 한국의 전통 문과 결이 다른 그림은 AI의 학습능력이 아직은 초보 단계라는 점을 보여주지만, 주문에 따라 순식간에 그림이나 이미지가 제작되는 'AI 화가 시대'가 성큼 우리 곁에 다가온 셈이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들에선 "이걸 AI가 그렸답니다"라는 감탄조의 글들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이미지 제작 AI인 '미드저니' '노벨AI' 등은 핸드폰 사용료 정도의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런 AI들이 정교하게 발전해 주문자의 세심한 요구까지 만족시키면 이미지 산업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은 분명하다. 일각에서는 "그림 그려서 먹고 사는 시대는 끝났다"는 한탄도 나온다.


말만 입력하면 그려주는 AI

수년 전부터 개발되어온 이미지 제작 AI는 근래 들어 정교한 그림을 생산해내면서 주목도가 급격하게 높아졌다. 저마다 특성이나 원리가 조금씩 다른 AI들이 최근 1, 2년 사이 잇따라 등장했고, 이달에 서비스를 시작한 노벨AI의 만화체 그림은 상당한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AI 그림들이 속속 올라오면서 놀라움과 함께 위기감이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는 것이다.

미드저니나 노벨AI는 인간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말을 카카오톡을 사용하듯 입력하면 그림을 생산한다. 미리 학습한 이미지들을 바탕으로 주문에 맞는 이미지를 제작하는데 학습량이 많아질수록 정밀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낯익은 화풍이긴 하지만 지금도 게임 배경이나, 판타지(환상) 소설의 표지, 잡지 삽화용으로 그럭저럭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이다.

지난 7일 미드저니로 /imagine a news reporter is writing an article이라는 명령어로 제작한 그림. 미드저니 개발사는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기에 그림을 외부에 게재할 때는 꼭 제작 날짜를 밝혀달라고 밝혔다. 인물의 얼굴이나 손가락에서 오류가 보인다. 김민호 기자

지난 7일 미드저니로 /imagine a news reporter is writing an article이라는 명령어로 제작한 그림. 미드저니 개발사는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기에 그림을 외부에 게재할 때는 꼭 제작 날짜를 밝혀달라고 밝혔다. 인물의 얼굴이나 손가락에서 오류가 보인다. 김민호 기자


게임 원화 등 상업미술 직격탄

'AI 화가 시대'가 본격화하면 당장 잡지 삽화나 게임 원화 등을 그리는 상업미술계가 직격탄을 맞을 것이란 게 업계의 대체적 전망이다. 목적에 맞는 그림을 적은 비용으로 제작해야 하는 상업미술계에선 누가 그리거나 얼마나 창의적이냐에 무관하게, 쓸 만한 그림이면 그만이다.

특히 게임업계가 AI 화가를 적극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수백억 원대 개발비가 드는 대작 게임의 경우, 이미지를 담당하는 콘셉트 작가가 보통 20명 안팎, 많게는 50명까지 투입된다. 기업으로선 제작 비용을 낮추기 위해 화풍을 상업적으로 인정받는 소수의 창의적인 작가들만 남기고, 단순 반복 작업을 하는 작가들은 AI로 대체할 가능성이 큰 것이다. 게임 속 하늘, 간단한 소품을 그리는 '잔일'이 그런 대체 영역이다. 양산형 게임은 이미지에 크게 신경 쓰지 않아 AI 활용 가치는 더욱 높다.

온라인 게임 리니지2의 미술을 총괄했던 정준호 아트 디렉터(미술감독)는 “일정한 규모의 작업에 드는 시간이 대략 정해져 있다. A가 한 달 걸리는 그림을 B는 AI를 이용해서 일주일 만에 내놓는다면 비교될 것”이라면서 “인건비, 단가가 떨어지고 출혈 경쟁이 일어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일자리 자체가 감소할 수 있다는 얘기다.

정 감독은 AI가 업계에 곧 상륙할 것이라며 “길면 2, 3년, 이르면 내년에 현장에 AI가 도입돼 순기능, 역기능이 나타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손병혁 청강문화산업대 교수도 “노벨AI가 인물을 거의 원화 수준으로 뽑아내서 만화체 그림을 외주 받는 작가나 학생들이 어려워지게 됐다”면서 “콘셉트 작가 역시 창의성 없이 오퍼레이터(조작자)처럼 일하는 경우는 안심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미드저니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여러 선택지를 제공한다. 첫 그림을 완성하기 이전에 미드저니가 제공한 선택지. 이 중에 하나를 고르고 그림을 수정하거나 개선할 수 있다. 김민호 기자

미드저니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여러 선택지를 제공한다. 첫 그림을 완성하기 이전에 미드저니가 제공한 선택지. 이 중에 하나를 고르고 그림을 수정하거나 개선할 수 있다. 김민호 기자


기자가 제작한 이미지의 일부분. 숲을 보면 미드저니가 배경 그림에서는 세밀한 부분까지 완성도 높게 그려낸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로봇이나 인물 등은 상대적으로 세밀하지 못하고 간혹 의도적인 표현으로 해석하기가 어려운 오류도 있다. 김민호 기자

기자가 제작한 이미지의 일부분. 숲을 보면 미드저니가 배경 그림에서는 세밀한 부분까지 완성도 높게 그려낸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로봇이나 인물 등은 상대적으로 세밀하지 못하고 간혹 의도적인 표현으로 해석하기가 어려운 오류도 있다. 김민호 기자


웹툰, 1인 게임 개발자 등에겐 기회

반면 어떤 이들에겐 AI 시대가 기회가 될 수 있다. 색감 등 기술적 소양이 부족한 사람도 창의력을 발휘하면 상업미술계에서 일자리를 찾을 수 있고, 어려운 환경에서 게임을 개발하는 1인 개발자도 AI를 전속 작가처럼 이용할 수 있다.

웹툰 업계에도 기회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창완 세종대 만화애니메이션학과 교수는 "웹툰은 고전적 만화와 달리 작화보다는 줄거리나 아이디어가 중요한 매체"라며 "만화 어시스턴트(보조 작가)를 구하기 어려운 작가들이 AI를 이용할 수 있고 AI 때문에 그림체가 수렴할수록 작화가 뛰어난 작가들이 주목을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1,000명이 일하면서 1년에 100개씩 작품(IP)을 만드는 웹툰 제작사도 등장했다. 1인 작가는 물량 경쟁이 어려운데 AI가 도와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 교수는 이름난 원로 작가들의 그림을 AI에 학습시켜서 작가들이 세상을 떠난 이후에도 그들의 그림체로 만화를 그리도록 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기자가 'Dead robots are standing on a train station'이라는 명령어로 제작한 이미지의 선택지들. 아래 그림도 거의 유사한 명령어를 입력했지만 이미지가 다르게 나왔다. 김민호 기자

기자가 'Dead robots are standing on a train station'이라는 명령어로 제작한 이미지의 선택지들. 아래 그림도 거의 유사한 명령어를 입력했지만 이미지가 다르게 나왔다. 김민호 기자


위 그림과 유사한 명령어로 제작한 이미지의 선택지들. 상업미술 작가에게는 AI에 의도에 맞게 일을 시킬 수 있는 능력도 중요해질 수 있다. 김민호 기자

위 그림과 유사한 명령어로 제작한 이미지의 선택지들. 상업미술 작가에게는 AI에 의도에 맞게 일을 시킬 수 있는 능력도 중요해질 수 있다. 김민호 기자


순수미술계는 시큰둥...더욱 중요해지는 건 창의성

AI에 대해 우려와 기대가 동시에 나오는 상업미술계에 비해 순수미술계는 시큰둥하다. 현대 미술에서 손 기술은 기초에 불과하다는 이유에서다. 입체파의 거장인 피카소가 미드저니와 같은 그림으로 이름을 남기진 않았다. 홍경한 미술평론가는 “AI는 선, 면, 색, 질감, 형태 등 조형적 요소에서 인간보다 탁월하다. 하지만 거기엔 예술적 가치관도 없고 철학도 없다. 미술계에서는 조형뿐만 아니라 미술사적 의미 등 20개 가까이 되는 지표들을 기준으로 그림을 평가하는데 AI 그림은 결국 복제일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19세기 말 신인상파처럼 점을 찍어서 뛰어난 그림을 그리는 화가가 현재에 있다고 의미 부여를 하느냐”라고 되물었다.

전문가들은 상업미술에서건 순수미술에서건 인간의 창의력이 낙엽처럼 취급받는 시대는 오지 않을 거라고 말한다. AI가 그린 그림을 수정하든, AI의 도움을 받든 최종적으로는 인간이 의도적으로 작품을 만들어내야 하기 때문이다. 안진국 미술평론가는 "인간은 실수를 통해서도 새로운 창의적 표현을 만들어내지만 기계에겐 그저 실수일 뿐"이라고 평가했다. AI의 등장으로 더욱 중요해지는 건 인간의 창의성인 셈이다.


김민호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