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유튜버 슈카 "당당치킨 가격 경쟁력 비결은 임대료·배달료·수수료 0원"
알림

유튜버 슈카 "당당치킨 가격 경쟁력 비결은 임대료·배달료·수수료 0원"

입력
2022.08.11 14:00
수정
2022.08.11 14:01
0 0

치킨 재료 닭고기 가격 10년간 제자리
치킨 가게 사장님들 "남는 것 없다"지만
본사 영업이익률은 30%대...'애플'보다 높아

10일 오전 서울 중구 롯데마트 서울역점에서 '한통치킨'이 판매되고 있다. 뉴시스

10일 오전 서울 중구 롯데마트 서울역점에서 '한통치킨'이 판매되고 있다. 뉴시스

홈플러스에서 한 마리 6,990원에 판매하는 '당당치킨'을 두고 원가 논쟁이 벌어진 가운데 펀드매니저 출신 유튜버 슈카(본명 전석재)가 "저렴한 원가 비결은 임대료, 배달료가 없기 때문"이라는 해석을 내놨다. 최근 치킨 전문점 원가의 상당 부분이 배달료, 배달중계 수수료, 임대료 등으로 쓰이는데 대형마트는 이런 부대비용이 없어 치킨 원가를 대폭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슈카는 10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인 '슈카월드'에서 "대형마트가 파격적인 가격에 치킨 파는 게 가능한 결정적인 이유는 원재료인 닭고기 가격이 안 올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치킨 원재료 닭고기... 10년간 136원 올라

8일 홈플러스 영등포점에서 치킨 두마리를 9,990원에 멤버십 판매를 하자 고객들이 줄을 서 구매하고 있다. 고영권 기자

8일 홈플러스 영등포점에서 치킨 두마리를 9,990원에 멤버십 판매를 하자 고객들이 줄을 서 구매하고 있다. 고영권 기자

실제 한국육계협회에 따르면 치킨 원재료로 가장 많이 쓰이는 9‧10호 닭 한마리 가격은 10년 전인 2012년 8월 한 달 평균 3,787원이었다. 10년간 약간의 가격 부침을 겪었지만, 이달 1일에서 11일까지 평균 가격은 3,923원으로 그사이 136원 올랐다. 슈카는 "이 정도면 닭스피(닭+코스피)"라며 "점점 대형화되고 기술도 늘다 보니까 닭고기 가격 자체는 안 올랐다"고 정리했다.

반면 치킨 배달까지 필요한 부대비용은 급증했다. 슈카는 치킨 배달 때마다 △배달료 4,000~5,000원 △배달 중계 수수료 1,500~2,000원 등이 드는 점을 지적하며 "이런저런 다른 이유로 (원가가) 벌어지면서 대형마트가 (치킨 판매에) 참전하기 좋아지게 됐다"고 말했다.

지난 6월 30일 판매를 시작한 당당치킨은 이달 10일까지 두 달간 32만 마리가 넘게 판매됐다. 1분에 약 5마리씩 판매된 셈이다. 당당치킨이 인기를 끌면서 이마트와 롯데마트도 9,980원짜리 '5분치킨', 8,800원짜리 'New 한통 가아아득 치킨'을 내놓으며 초저가 치킨 판매에 돌입했다. 2010년 롯데마트가 5,000원짜리 '통큰치킨'을 출시했을 때 소상공인 사업까지 점령했다는 사회 여론 등에 밀려 일주일 만에 철수한 것과는 대조적인 풍경이다.

점주들 "남는 것 없다"지만... 본사 영업이익률은 애플보다 높아

10일 유튜버 슈카가 자신의 채널에서 최근 10년간 국내 닭고기 가격 추이를 그린 그래프를 소개하고 있다. 그는 좀처럼 오르지 않은 닭 가격을 코스피에 빗대 "닭스피"라고 불렀다. 유튜브 '슈카월드' 캡처

10일 유튜버 슈카가 자신의 채널에서 최근 10년간 국내 닭고기 가격 추이를 그린 그래프를 소개하고 있다. 그는 좀처럼 오르지 않은 닭 가격을 코스피에 빗대 "닭스피"라고 불렀다. 유튜브 '슈카월드' 캡처

자영업자들의 반발은 지난 9일 한상인 홈플러스 메뉴 개발총괄이 한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치킨을 팔아도) 안 남는다는 말이 이해가 안 된다. 6,990원에 팔아도 남는다"고 말하면서 폭발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프랜차이즈 치킨 원가를 나름대로 계산하며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한 네티즌은 "대기업이 자본으로 (가격을) 찍어눌러 놓고 7,000원에 팔아도 남는다고 한다"며 "치킨값이 비싸긴 하지만 그렇다고 대형마트 치킨을 방치하는 건 소상공인들 목 조르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더 편한 서비스를 받겠다는 게 왜 문제냐"는 반응도 많다. "대형마트에서 초저가 초밥도 파는데 아무 문제가 없었다"는 반발도 있다.

슈카는 "프랜차이즈 점주들은 남는 게 없다고 말하는데, 맞다. 임대료, 배달료 내야하니 그렇다"면서도 "문제는 치킨 프랜차이즈 본사 영업이익률이 높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2020년 기준 국내 치킨 프랜차이즈 1~3위 본사의 영업이익률은 각각 32%, 17%, 9%다.

슈카는 "(높은 영업이익률은) 물론 경영을 잘한 결과지만, 뭘 하면 32%가 남나"라면서 "애플 영업이익률이 30% 수준(올해 6월 기준 27.82%)인데, (치킨 프랜차이즈는) 엄청난 기술이 들어간 것도 아니다"라고 비꼬았다. 본사의 높은 마진율이 점주 '쥐어짜기'에서 비롯된 게 아니냐는 말이다. 슈카는 "2위 기업 영업이익률이 17%인데 스타벅스 영업이익률이 8.5%"라며 "누가 문제인지 모르겠다. 영업이익률 10%를 넘는 건 코스피 기업 중에서도 평균 이상"이라고 비판했다.

이윤주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