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나성'이 어디예요?

입력
2022.08.06 04:30
22면
0 0
'나성에 가면' 영화 수상한 그녀 뮤직비디오 캡처

'나성에 가면' 영화 수상한 그녀 뮤직비디오 캡처

'나성에 가면 소식을 전해줘요. 안녕 안녕 내 사랑'. 1978년에 나온 곡이지만 영화에 여러 번 나오면서 대부분이 아는 익숙한 노래다. 그런데 '나성'은 어디일까? 바로 미국 로스앤젤레스이다. 1970년대 한국 상황으로 짐작하건대 등장인물은 이민을 떠나려 하고 있고, '함께 못 가서 정말 미안해요.'라는 주인공은 이별을 선언하는 중이다. 즐거운 날, 외로운 날에 둘이서 지낸 날들을 기억해 달라고 하는데, 훗날에 편지가 왔을까?

'나성'처럼 '구라파, 불란서, 서반아, 아라사, 화란, 화성돈' 등이 있었다. 각각 지금의 유럽, 프랑스, 스페인, 러시아, 네덜란드, 워싱턴이다. 미리견(미국), 영길리(영국)도 있었는데, 이후에 한자를 덧붙인 미국, 영국, 태국 등이 조합되었다. '법국(프랑스)'이나 '덕국(독일)'은 더 이상 쓰이지 않지만, 하늘길이 열린 현재도 종종 발음이 비슷하다며 '이태리(이탈리아), 월남(베트남)'이라 부르는데, 과연 그 나라 사람들의 생각도 같을까? 오스트레일리아 유학생이 '호주'란 말을 처음 만날 때의 느낌은 우리가 최남선의 시에서 '나팔륜(나폴레옹)'을 볼 때와 비슷할 것이다.

사실 저 이름들은 처음부터 한글로 다 적을 수 있었다. 그런데 1894년 고종이 '모든 공문은 국문으로 본을 삼을 것'을 칙령으로 발표하기 전, 당시에는 공식 문자인 한자로 외국의 나라와 도시 이름을 만들 수밖에 없었다. 물론 이제 와서 바꿀 수 있는 부분이 아니므로 그대로 쓸 수밖에 없는 부분도 많다. 최근에 터키가 유엔에 튀르키예(Türkiye)로 국호 변경을 요청했다. 한때 우리 교과서에 '토이기, 돌궐'이라 적혀 있던 이름이었다. 유엔은 터키어 발음에 따라 철자를 변경하고 이를 승인했으며, 이미 우리나라 사전에도 반영되었다.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투르크'계로 부르는데, 유독 영어권과 영어를 따르는 한국은 그렇지 않았다. 마치 우크라이나의 '키이우'를 러시아식인 '키예프'로 써 온 것과 같다. 정작 우크라이나의 수도인데 말이다.

문득 25년 전, 서울 잠실에서 만난 일본인이 생각난다. 그 일본인은 아이들에게 '조선에 오니 어때?'라고 했다. 일본어 '조선'이 단지 '한국'을 지칭한다고 할 수 있으나, 한국 땅에 와서도 조선이라 부르는 이방인의 말은 무례하게 느껴졌다. 어떤 나라의 이름도 그 나라 사람들에게는 중요하다. 처지를 바꿔 생각해 보며, 익숙함보다 배려를 앞세울 것이 필요하다.

이미향 영남대 글로벌교육학부 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