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기후변화에 새들이 겪는 이중고

입력
2022.07.26 20:00
25면
0 0
김영준
김영준국립생태원 동물관리연구실장

올여름 지구촌은 불덩이로 난리가 아닙니다. 이미 4월 인도와 파키스탄이 50도 가깝게 불타올랐고, 7월엔 영국이 363년 만에 최고로 더운 여름을 겪고 있습니다. 유럽 전역에서는 30곳 이상에서 산불이 발생하였고 45도가 넘었던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선 수백 명 사망자도 나왔습니다. 지구온난화는 특히 극지방에서 강하게 나타나는데 이를 '북극증폭'이라 한다죠. 북반구 중위도 8~10㎞ 상공에서 강한 편서풍이 부는데 이를 제트기류라 합니다. 북극이 따뜻해지면, 중위도와의 기온차가 줄어들며 제트기류는 느려지고 느슨해지죠. 약해진 제트기류는 북아프리카의 뜨거운 열기를 밀어내지 못하고 유럽은 열풍에 휩싸입니다. 2003년 유럽을 강타한 폭염으로 7만 명이 사망한 것과 비교한다면 이번 사태를 다행이라 해야 할까요?

메뚜기참새. 대표적인 북미 초지성 조류로서 건조한 초원지대에 서식한다. 광범위한 서식지 소실과 기후변화로 인해 멸종에 더욱 가까이 다다를 것으로 추정되는 종 중 하나다. ⓒPixabay

메뚜기참새. 대표적인 북미 초지성 조류로서 건조한 초원지대에 서식한다. 광범위한 서식지 소실과 기후변화로 인해 멸종에 더욱 가까이 다다를 것으로 추정되는 종 중 하나다. ⓒPixabay

기후 위기는 많은 생물들에게도 다양한 영향을 줍니다. 극지방에서 번식하는 물새류는 새끼에게 맞는 작은 물고기를 잡지 못해 문제고, 빙하 아래 공간에서 살아가는 크릴은 그 수가 급감하며, 크릴을 먹이원으로 하는 다른 생물들에게도 악영향이 미칩니다. 다만 기후변화에 모든 생물들이 앉아서 당하지는 않죠. 특히 진드기류나 모기류와 같은 위생 해충들에게는 더 좋은 환경조건이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기후변화와 관련한 거의 모든 예측에서 곤충 매개성 질병 출현이 늘어날 것이라 보고 있죠. 가령 지난 30년간 지중해 일대 자료를 살피면 찬물을 선호하는 해양생물은 더 깊은 곳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시카고에서는 40년간 건물 유리창 충돌로 죽은 52종 7만여 개체를 조사한 결과 49종은 몸 크기가 줄어들었고, 40종은 날개가 길어졌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라 더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하기에 몸이 작아지고 날개깃은 더 길어져야 했던 것이죠. 그럼에도 오랜 시간 자신들의 삶과 적합하게 기후에 적응해 온 고등 생물들에게 삽시간의 적응이란 결코 쉬운 문제는 아닙니다.

특히 기후변화가 농경을 위한 초지 개간과 같은 서식지 변화 등과 맞물린다면 초지를 삶터로 삼는 조류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미 1970년부터 2020년까지 50년간 북미 어른새들이 29억 마리나 줄었다는 보고와 함께 초지를 기반으로 살아가는 조류 53%가 사라졌다고 알려졌었죠. 이번 연구팀은 북미 번식조류 조사 자료를 통해 조류 개체수 변화와 함께 인간의 토지 이용 변화를 함께 살폈습니다. 그 결과, 연구 대상 114종 중에서 26%에 해당하는 최소 30종이 지난 30년간 기후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죠.

기후변화와 함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풍부도 및 분포지역이 줄어드는 경향은 멸종위기종을 포함하여, 개체수 감소 추세종에서 크게 나타났습니다. 특정 서식지만을 선택하는 종에서도 기후변화 영향은 더 크게 나타나지요. 생존을 위한 이상적인 기후조건과 함께 특정 서식지를 찾아내야 하니 말입니다. 멸종 위협의 강도가 더욱 세진다는 점입니다. 이들이 최적의 기후를 잃는 것이, 어쩌면 이번 여름 유럽인들을 괴롭힌 열돔 현상과 겹쳐 보이는 것은 저만의 기우일까요?

김영준 국립생태원 동물관리연구실장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