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초보 과학로켓 쏜 지 29년 만의 '실용위성' 쾌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초보 과학로켓 쏜 지 29년 만의 '실용위성' 쾌거

입력
2022.06.21 17:34
수정
2022.06.21 17:36
4면
0 0
국내 최초의 과학로켓 KSR-I의 실험 장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국내 최초의 과학로켓 KSR-I의 실험 장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한국 자체 기술로 개발한 우주발사체 누리호가 발사에 성공했다. 누리호로 보면 지난해 10월 1차 발사 이후 8개월 만의 성공이지만, 자체 발사체를 보유하겠다는 꿈을 이룬 것은 그 꿈을 꾸기 시작한 뒤로 자그마치 36년 만이다. 우주개발 황무지와도 같았던 한국에서 연구진은 3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조금씩 땅을 일궜고, 드디어 첫 싹을 틔웠다.

한국이 독자적 발사체 개발을 꿈꾼 것은 1987년 한국천문연구원의 전신 천문우주과학연구소가 발사체 개발 관련 기초연구를 시작하면서부터다. 이후 1989년 10월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을 설립하면서 한국형 발사체 기술 확보를 위한 행보가 구체화하기 시작했다.

한국형 발사체 도전사

한국형 발사체 도전사


첫 문을 연 것은 과학로켓 1호(KSR-Ⅰ) 발사다. 항우연은 개발 3년 만인 1993년 충남 태안군 안흥시험장에서 KSR-Ⅰ을 발사했다. 1단형 고체엔진을 장착한 KSR-Ⅰ은 고도 39㎞, 낙하거리 77㎞를 비행하면서 한반도 상공 오존층을 측정했다. 이후 △1998년 6월 중형과학로켓 KSR-Ⅱ(2단형 고체엔진) 발사 △2002년 11월 KSR-Ⅲ(액체추진기관) 발사 등을 성공하며 발사체 기술력을 차근차근 쌓았다.

소형위성 발사체인 나로호(KSLV-I) 프로젝트는 한국의 발사체 능력이 비약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 2002년 8월부터 2013년 4월까지 11년간 총 5,025억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100㎏급 소형 인공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투입하는 게 목표였다. 나로호는 2009년 8월 1차 발사, 2010년 6월 2차 발사가 실패하면서 시련을 겪기도 했지만 2013년 1월 3차 시도에서 성공을 이뤘다. 로켓 기술강국 러시아의 도움이 많았기 때문에 "돈으로 산 한국 첫 우주발사체"라는 비판까지 받았다.

하지만 독자 기술이 없어 설움을 겪기도 했던 당시의 경험은 순수 우리 기술로 만든 첫 우주 발사체 누리호 프로젝트의 자양분이 됐다. 10년 사이 연구진은 거의 모든 장비·시스템을 국내 기술로 해결하며 큰 발전을 이뤄냈다. 누리호의 탑재 중량은 나로호의 15배인 1,500㎏, 비행 고도는 2배 이상인 600~800㎞로 향상됐다. 2018년 시험발사에 성공하고 지난해 10월 1차 발사에서 700㎞ 목표 고도에 도달한 누리호는 21일 2차 발사에선 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올려놓으며 최종 성공을 거뒀다.


고흥 최동순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