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지금도 중국 판호 안 나오는데"...한미 동맹 강화에 골치 아픈 K게임
알림

"지금도 중국 판호 안 나오는데"...한미 동맹 강화에 골치 아픈 K게임

입력
2022.05.25 14:50
수정
2022.05.25 14:55
11면
0 0

中, 사드 배치 보복으로 2017년부터 불허
바이든 방한 이후 한미 협력 강화...불쾌한 기색
세계 최대 시장 옆에 두고 지켜만 보는 K게임

넥슨의 모바일 게임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당초 2020년 8월 정식 출시를 계획했으나 돌연 중국 정부로부터 출시 연기 통보를 받고 아직까지 출시를 못하고 있다. 넥슨 제공

넥슨의 모바일 게임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당초 2020년 8월 정식 출시를 계획했으나 돌연 중국 정부로부터 출시 연기 통보를 받고 아직까지 출시를 못하고 있다. 넥슨 제공

국내 중견 게임업체인 A사는 자사 모바일 게임의 글로벌 진출을 준비하면서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은 처음부터 제외했다. 현지 시장 진출을 위해선 중국 정부의 허가증(판호)을 받아야 하는데, 2016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이후 가동된 한한령(限韓令)이 지속되면서 판호 발급도 무기한 중단됐기 때문이다. A사 관계자는 "최근 조금씩 풀리려는 분위기였는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방한으로 다시 예전으로 돌아갈 것 같아 걱정된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 방한을 계기로 한미 안보동맹이 강화되면서 중국의 견제도 거세질 전망이다. 게임 분야 또한 예외는 아니다. 이에 따라 중국의 문호 개방만 기다렸던 국내 콘텐츠 업계엔 실망감과 함께 조만간 발효될 것으로 점쳐진 한한령은 공포감으로 다가오고 있다.

2017년 이후 K게임 中 판호 단 3건

25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중국은 2017년 한한령 조치 이후 5년간 단 3건의 한국 게임에만 판호를 발급했다. 판호란 중국에 게임을 출시하기 위해 받아야 하는 일종의 서비스 인허가권이다. 2016년까지 매년 수십 건의 판호가 발급되면서 '던전앤파이터', '크로스파이어'의 경우 연매출 1조 원 이상을 중국 시장에서만 수확했다. 하지만 사드 배치 이후 발효된 관계당국의 보복은 현재까지 중국 시장 폐쇄로 이어지면서 사실상 현지 진출도 막힌 상태다.

넥슨의 '던전앤파이터 모바일'은 한한령 이전인 지난 2017년에 판호를 발급받았지만 여전히 중국 출시를 못 하고 있다. 2020년 8월 출시 하루를 앞두고 돌연 중국 당국으로부터 연기 통보를 받았기 때문이다. 게임 내 과몰입 방지 시스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이유를 제시했지만, 업계에선 해외 게임 규제 정책으로 해석하고 있다.

돈독해진 한미관계에 불쾌한 심기 드러내는 中

그렇게 닫혔던 중국 게임 시장은 최근 들어 해빙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관련 업계에도 기대감이 커졌다. 특히 올해 한·중 수교 30주년과 한중 문화교류의 해(2021, 2022년)가 겹치면서 중국 정부가 한국과의 관계 개선에 나설 것이란 긍정적인 전망도 팽배했다.

실제 국내 게임사인 펄어비스는 중국 게임 유통사인 텐센트를 통해 지난 4월 '검은사막 모바일'의 현지 정식 출시도 진행했다. '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 '슬기로운 감빵 생활' 등 국내 드라마 역시 중국 당국의 심의를 통과하면서 중국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OTT)를 통해 방영했다.

하지만 이런 상황에서 미국 주도의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에 우리 정부가 참여하자 중국은 노골적으로 불쾌한 심기를 드러내고 있다. 업계에 한한령에 대한 공포감이 엄습한 배경이다. 게임사 관계자는 "아무래도 현 정부가 중국보다는 미국에 우호적으로 나서다보니 중국 시장의 통로가 더 좁아지지 않을까 걱정되는 것도 사실이다"라며 "아예 동남아나 인도 쪽으로 눈을 돌리는 게 현재 업계의 분위기"라고 말했다.

달라진 현지 게임업계 동향도 부정적이다. 해외 게임의 현지 시장 진출이 차단되는 동안, 중국 토종 업체들의 경쟁력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판호 발급이 정상화된다 하더라도 과거처럼 국내 게임의 중국 현지 흥행을 장담하긴 어려울 것이란 관측에 힘이 실린 까닭이다. 그럼에도 게임 시장의 규모를 감안하면 중국은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이다. 위정현 중앙대 교수 겸 한국게임학회장은 "중국은 우리 정부가 미국과 더 가까워지는 것을 걱정하는 만큼 우리가 무엇인가 요구할 경우 이에 적극 확답할 가능성이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하는 이유다"라고 말했다.

안하늘 기자
이승엽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