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中·인도는 ‘시큰둥’… 시작부터 엇박자 내는 COP26, 합의 도출 험난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中·인도는 ‘시큰둥’… 시작부터 엇박자 내는 COP26, 합의 도출 험난

입력
2021.11.02 18:55
수정
2021.11.02 19:46
3면
0 0

시진핑 中 주석, 푸틴 러 대통령 회의 불참
인도는 "선진국이 1조 달러 내놔라" 어깃장
"2015년 파리와 달리 말잔치로 끝날 우려"

1일 영국 글래스고 센트럴스테이션에서 환경운동가들이 기후위기 대응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글래스고=로이터 연합뉴스

1일 영국 글래스고 센트럴스테이션에서 환경운동가들이 기후위기 대응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글래스고=로이터 연합뉴스

“기후변화로 인한 인류의 파국에 맞서겠다”는 국제사회의 강한 의지와 달리, 일부 국가의 반응은 시큰둥하기만 하다. 세계 주요 탄소 배출국인 중국과 러시아 정상은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논의 테이블에 나타나지도 않았다. 개발도상국들은 선진국들이 더 많은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기후위기 책임론과 자금 지원 요구부터 내세우고 있다. 시작부터 엇박자가 나오면서 이번 회의가 ‘말잔치’로 끝날 수 있다는 비관적 전망도 나오고 있다.

1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 등 외신에 따르면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COP26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이 벌써부터 고개를 들고 있다. 기후 역습에 맞서기 위해 새로운 세계 질서를 모색하겠다는 다짐에도 불구하고, 중국 인도 러시아 등 ‘오염 주범’으로 꼽히는 나라들이 미온적 태도를 보이는 탓이다.

당장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 4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1위 국가’ 중국, 4위인 러시아 정상은 이번 회의에 얼굴을 비치지도 않았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당초 예상됐던 화상 연설이 아닌, 서면 인사말로 입장 표명에 나섰다. 그는 “기후변화의 악영향이 뚜렷해지면서 글로벌 행동이 더 시급해지고 있다”면서도, 자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진전된 조치는 언급하지 않았다.

오히려 책임을 서방 국가로 돌렸다. “선진국이 스스로 더 많이 노력할 뿐 아니라 개도국이 더 잘 대응하도록 도와야 한다”며 기후변화 억제 부실화를 미국 탓으로 떠넘겼다. 연설문 말미에는 ‘이실즉치(以實則治)’도 거론했다. 미국이 말로만 떠들지 말고 먼저 행동에 나서라는 의미다.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도 회의에 불참했다. 그는 2일 사전 녹화 영상으로 연설을 대신하지만, 별도의 위기 대응 조치는 없을 것으로 관측된다.

중국과 러시아의 책임 회피를 바라보는 국제사회의 시선은 곱지 않다. 카리브해 섬나라 바베이도스의 미아 모틀리 총리는 “유감스럽게도 글래스고에 꼭 있어야 할 얼굴들이 없는 상황”이라며 “카리브해, 아프리카, 태평양 등 기후위기 최전선의 국민에게 뭐라고 말해야 하느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이번 회의가 사실상 ‘반쪽짜리’에 그쳤다는 평가까지 나오는 이유다.

1일 보리스 존슨(왼쪽) 영국 총리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COP26 회의장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글래스고=AP 연합뉴스

1일 보리스 존슨(왼쪽) 영국 총리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COP26 회의장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글래스고=AP 연합뉴스

온실가스 배출량이 세 번째로 많은 인도 역시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희생양이 될까 날을 세우는 분위기다. 이날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207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했다. 그간 기후대응을 외면해 왔던 인도가 드디어 국제사회 노력에 동참하기로 했다는 점은 의미가 있으나, 미국 등 다른 주요국이 제시한 시간표인 2050년보다 20년이나 늦다. 중국,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의 2060년 계획보다도 뒤처졌다.

모디 총리는 인도에 ‘환경오염 악당’ 프레임이 씌워지는 것을 경계했다. 그는 “인도는 세계 인구의 17%를 차지하지만, 탄소배출에선 5%의 책임만이 있다”며 공을 선진국으로 넘겼다. 온실가스 대부분이 지난 200년간 서방 국가에서 배출된 만큼, 개도국을 기후 위기의 주범으로 몰아선 안 된다는 얘기다. 그러면서 탈(脫)탄소 정책을 위해 1조 달러(약 1,175조 원)를 모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선진국이 개도국에 매년 지원하기로 한 1,000억 달러(약 117조 원)의 10배에 달하는 금액을 언급하며 압박한 셈이다.

전날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공동선언문에 탄소 중립 시점을 못 박지 못한 가운데, COP26 회의 시작부터 이런 ‘어깃장’이 나온 건 심상치 않다. “이번에도 빈 껍데기 합의만 나올 것”이라는 회의적 반응마저 나온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돌파구를 찾기 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고, 크리스티아나 피게레스 전 유엔기후협약 사무총장은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 때와 같은 중대한 합의는 도출하지 못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허경주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