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타르? "아프간 문제 국제사회 동참" 촉구
탈레반에도 "테러리즘과 전쟁 나서야"?
미국-탈레반 지역 내 중재자로 입지 굳혀?
난민 수용 문제·탈레반 인정 여부 과제
서방국가와 이슬람 무장조직 탈레반의 중재자 역할을 해온 중동의 소국(小國) 카타르가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카타르는 국제사회에는 “탈레반을 고립시키면 더 불안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고,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한 탈레반에 대해서도 “테러리즘과의 전쟁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양측과 돈독한 관계를 유지해온 카타르가 중동평화 해결에 앞장서 독립 국가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셰이크 모하메드 카타르 외무장관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도하를 방문한 하이코 마스 독일 외무장관과의 회담에서 “탈레반을 고립시키면 아프간은 더 불안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제사회 동참 없이는 아프간의 안보와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실질적인 진전을 이룰 수 없다”며 “탈레반을 아프간의 합법 정부로 승인하는 것은 급한 것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모하메드 장관은 이날 탈레반에도 “테러리즘과의 전쟁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우리는 테러리즘과 맞서기 위해 협력의 중요성을 알아야 한다”며 “탈레반이 지역 내 테러리즘과의 전쟁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아프간을 두고 카타르의 목소리가 커진 데는 가까운 지리적 이점 외에도 미국과 탈레반 양측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서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인접한 카타르는 면적(1만1,581㎢)이 한국의 경기도와 비슷하고 인구 290만여 명 가운데 카타르 국적은 30만 명 정도에 불과하다. 나머지 대부분은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등에서 온 해외노동자들이다.
미국은 이번 아프간 대피 작전에서 도하의 알 우데이드 미 공군기지에 대피 인원의 40%인 5만5,000여 명의 아프간 난민을 임시 수용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이번 대피 작전에 대해 카타르 군주(에미르) 셰이크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에 직접 전화해 감사를 표하기도 했다. 철군을 끝낸 미국의 아프간 대사관 업무도 카타르 대사관으로 이전했다.
탈레반도 2013년 도하에 사무소를 열고 대외 창구로 활용해왔다. 2001년 9ㆍ11테러 이전에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가 탈레반과 우호적 관계였지만, 탈레반 정권이 미국에 의해 붕괴되자 관계를 끊었다. 반면 카타르는 탈레반 지도부의 자국 은신 사실을 묵인해주는 등 관계를 이어왔다.
미군 철군 이후 카불 국제공항 재개 여부도 카타르에 달렸다. 카타르는 탈레반에 공항 운영 관련 기술을 지원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또 유엔 등 국제기구들도 아프간 원조 작업을 위해 카타르에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
미 워싱턴포스트(WP)는 “탈레반이 카불을 장악한 뒤 국제사회에서의 카타르의 영향력과 명성이 높아졌다”라며 “사우디아라비아 등 지역 내 강대국들 사이에서 독립 국가로서의 입지를 굳히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다만 남은 과제도 산더미다. 카타르는 자국으로 쏟아진 수만 명의 난민에게 자국 비용을 들여 매일 5만 끼씩 배식을 지원하고 있다. 국제사회와 탈레반 간 중재도 본격 시험대에 올랐다. WP는 “카타르가 성급히 탈레반을 합법 정부로 인정하면 그간 쌓아온 중재자로서의 국제적 입지가 한번에 무너질 수 있다”며 “탈레반에 타협하도록 압력을 가하면서 국제사회의 지지를 끌어낼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고 전망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