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발표된 정부의 'K반도체 전략'의 중심엔 삼성전자가 자리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날 2030년까지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을 포함해 시스템반도체 분야에 171조 원의 투자 방침을 밝혔다. 당초 계획보다 38조 원가량 늘어난 규모다. 최근 대만의 TSMC를 비롯한 경쟁사의 대규모 투자 소식에 삼성전자도 파격 카드로 맞불을 놓았다는 분석이다.
삼성전자, 2년 만에 투자금 38조 늘린다
삼성전자의 대규모 투자 계획은 과열되는 글로벌 반도체 경쟁과 무관치 않다. 특히 경쟁사에 비해 뒤처진 시스템반도체 경쟁력을 확실하게 끌어올리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앞서 2019년 4월, 정부는 삼성전자 화성사업장에서 '시스템반도체 비전 선포식'을 열고 시스템반도체 육성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당시 삼성전자는 "파운드리를 비롯해 시스템반도체 경쟁력 강화에 2030년까지 133조 원을 투자해 1위가 되겠다"며 '시스템반도체 비전 2030'을 발표했는데, 2년 만에 투자금을 40조 원 가까이 늘린 셈이다.
삼성전자에 이어 SK하이닉스도 투자 확대에 동참했다. 박정호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은 이날 "파운드리 생산 능력을 지금의 2배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국내 설비 증설, 인수·합병(M&A)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파격 투자 배경은?
삼성전자의 파격 투자 계획은 업계에선 예고된 수순이다. 라이벌인 TSMC의 올해 설비투자는 역대 최대인 300억 달러(33조5,000억 원)에 달한다. 여기에 3년간 1,000억 달러(약 116조 원)의 투자 계획 발표와 더불어 판을 키웠다. 또한 미국의 인텔도 파운드리 판에 복귀, 공격적인 투자를 예고한 만큼 삼성전자 입장에서도 다급한 실정이다.
더구나 삼성전자는 메모리반도체 분야에선 세계 최강이지만,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의 존재감은 미미하다. 지난해 삼성전자의 시스템반도체와 파운드리 영업이익은 1조7,000억 원 수준으로 전체 반도체 영업이익의 8%에 불과하다. 세계 반도체 산업 중심 축도 D램·낸드플래시 등 데이터 저장용 반도체에서 '두뇌' 역할을 하는 시스템반도체로 빠르게 옮겨가고 있다. 삼성전자로서도 시스템반도체 분야는 놓칠 수 없는 시장이다.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은 "우리가 직면한 도전이 크지만 현재를 넘어 미래를 향해 담대히 나아갈 것"이라며 의지를 드러냈다.
이재용 사면론 힘받을까
문 대통령의 삼성전자 현장 방문에도 비상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글로벌 반도체 패권 경쟁 속에 문 대통령이 직접 대대적인 정부 지원을 선언하고, 삼성전자가 화답이라도 하듯 대규모 투자계획을 내놨기 때문이다.
현재 미국은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을 자국에 유치하기 위해 적잖은 공을 들이고 있다. 때문에 삼성전자가 이달 중순으로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 이후 대규모 미국 투자계획을 발표할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삼성전자가 예상을 뛰어넘는 대규모 투자계획을 내놓은 만큼 청와대 역시 이에 화답하는 차원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사면을 적극 검토하지 않겠느냐는 시각도 나온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10일 취임 4주년 특별연설 후 기자회견에서 이 부회장 사면에 관한 질문을 받고 "충분히 국민들의 많은 의견을 들어 판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업계는 물론 일반 국민들도 이 부회장의 사면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적지 않은 만큼 청와대에서도 이런 여론을 의식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