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우리 백신 대부분이 AZ인데 ... "18일 유럽의약품청 결정 지켜보자"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우리 백신 대부분이 AZ인데 ... "18일 유럽의약품청 결정 지켜보자"

입력
2021.03.16 18:40
13면
0 0
옌스 슈판 독일 보건장관이 15일(현지시간) 베를린에서 아스트라제네카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기로 했다고 발표하고 있다. 베를린 로이터=연합뉴스

옌스 슈판 독일 보건장관이 15일(현지시간) 베를린에서 아스트라제네카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기로 했다고 발표하고 있다. 베를린 로이터=연합뉴스


18일(현지시간)로 예정된 유럽의약품청(EMA) 회의 결과를 두고 우리 방역당국이 초긴장 상태다. EMA 회의에서마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중단 권고 결정이 나오면, 우리는 계속 접종할 것이냐는 질문이 나올 수밖에 없다. 유럽과 달리 우리나라 2분기 접종계획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중심으로 짜여 있어서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린다.

“EMA 결정 따라 접종 중단도 고려 가능"

16일 박영준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이상반응조사지원팀장은 “EMA 회의 결과를 예의 주시하고 그 결과에 따른 후속 조치 방향을 검토 중”이라며 “EMA 회의에서 예방적으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오면 (예방 접종 중단을) 하나의 선택지로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예방적 접근’이란 백신과 백신 접종 후 사망이나 혈전 생성과 인과성이 없다 해도 안전을 위해 백신 사용을 일시 중단한다는 의미다.

방역당국의 고심이 묻어 있는, 굉장히 완곡한 표현이다. 이는 영국제 아스트제네카 백신을 두고 유럽 대륙계 국가들이 끊임없이 문제를 제기하는 현실과 직결돼 있다. 앞서 오스트리아에선 기저질환이 없던 젊은 여성 2명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혈전색전증(피가 굳어 혈관의 흐름을 막는 증상)이 생겼고, 그중 1명이 숨졌다. 오스트리아가 해당 제조번호 백신 사용을 중단한 데 이어 프랑스, 이탈리아, 포르투갈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중단했다. 프랑스와 스페인도 여기에 합류했다.

방역당국은 유럽에서 보고된 백신 접종 후 사망, 혈전 생성 같은 이상 반응에 대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의 관련성을 확인했다는 근거를 제시한 국가는 현재까지 없다”고 밝혔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그간 옹호해오던 EMA도 접종 중단 국가가 늘자 결국 회의를 소집했다. 우리로선 이 결과가 중요할 수밖에 없다.


AZ 제외하면 백신 부족할 텐데...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이뤄진 백신 접종은 대부분 아스트라제네카 제품이다. 이미 국내에 들어온 코로나19 백신의 93%(78만7,000명분)가, 2분기 도입이 확정됐다는 백신의 57%(455만 명분)가 아스트라제네카 제품이다. 2분기 접종 인원 1,150만2,400명 가운데 75세 이상(364만 명)과 노인시설 이용자·종사자(15만8,000명)를 제외한 나머지 770만4,400명(67%)도 모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는 것으로 예정돼 있다.

이런 상황에서 EMA 차원에서 접종 중단 권고가 나오면 우리나라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그럴 경우 기껏 세워둔 코로나19 예방접종 계획은 대폭 수정돼야 한다. 아스트라제네카 제품을 제외하면 백신이 턱없이 부족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11월 집단면역’이라는 목표 달성도 멀어질 수밖에 없다. 전망은 엇갈린다. 유럽 개별 국가들의 거부감을 무시할 수 없으리라는 주장도 있고,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백신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EMA나 세계보건기구(WHO) 차원에서 접종 중단 결정이 나오긴 어렵다는 예상도 있다.


“AZ는 1회, 화이자는 2회 접종 때 이상 반응 심해”

이런 전망과 별개로, 관건은 EMA가 접종 중단 권고를 내놓는다면 우리나라가 이를 따라야 하느냐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의견이 엇갈린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이 아직 나오지 않았다는 사실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계속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것 같다"며 "유럽도 백신이 부족하긴 매한가지인데, 그곳에서 쓰지 않겠다는 것을 우리가 계속 사용한다는 건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반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자체의 특성을 감안해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이 백신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자를 아데노바이러스에 넣어 만든다. 접종할 경우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물론, 아데노바이러스에 대해서도 면역반응이 일어난다. 이 때문에 개발 이전부터 다른 백신보다 이상 반응이 더 나타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었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바이러스 전달체 백신은 1회 접종 이후, 화이자 같은 유전자 백신은 2회 접종 이후에 이상 반응이 좀 더 많다고 알려져 있다”며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 백신을 둘 다 많이 접종한 영국의 접종 데이터를 보면 접종 후 사망이나 색전증, 횡단성척수염, 안면마비 보고 비율이 두 백신 모두 자연발생률과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굳이 따를 필요가 있겠느냐는 얘기다.

임소형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