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적 활동 단절된 치매 환자 폭증 우려...”

알림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적 활동 단절된 치매 환자 폭증 우려...”

입력
2020.09.04 16:00
21면
0 0
묵인희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장이 지난 2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 의대 연구실에서 치매 발병을 5년 늦춰 치매환자 증가속도를 절반까지 낮추겠다는 연구단의 목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왕태석 선임기자

묵인희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장이 지난 2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 의대 연구실에서 치매 발병을 5년 늦춰 치매환자 증가속도를 절반까지 낮추겠다는 연구단의 목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왕태석 선임기자


84만명에 달한다. 현재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10.39%)이 치매를 앓고 있다. 치매 치료ㆍ관리에만 18조9,000억원이 든다. 유래 없이 빠른 속도로 초고령사회(65세 인구 비율이 전체의 20% 이상ㆍ2025년 진입 예상)를 향해 치닫는 만큼 앞으로 치매환자 수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전망. 현 추세라면 치매환자는 2030년에 127만명, 2050년에는 271만명까지 급증하게 된다.

그러나 묵인희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장(서울대 의대 교수)이 바라보는 현실은 이보다 더 잿빛이다. 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노인들의 사회적 활동이 사실상 단절되면서 치매 환자는 중증도가 높아지고, 정상이던 노인마저 인지능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있다”며 “예상속도보다 더 빨리 치매환자가 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오는 21일 ‘치매극복의 날’을 앞두고 지난 2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 의대 연구실에서 만난 그는 “비대면 예방 프로그램 개발 등 치매 환자가 폭증할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미리 대비해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묵 단장은 “치매 연구는 전 세계가 같은 출발선에 서 있기 때문에 대규모 투자로 선도 기술을 확보하면 매우 큰 블루오션을 개척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지난달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을 출범시키고, 2028년까지 1,987억원을 지원하기로 한 것도 이 때문이다.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은 △치매 원인규명ㆍ발병기전 연구 △치매 예측ㆍ진단기술 확보 △치매 원인치료제 개발 등에 집중하기로 했다.

현재 치매 조기 발견을 위해선 뇌척수액 검사나 치매 원인으로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이 뇌 안에 얼마나 쌓여 있는지 보는 아밀로이드 펫(PET) 영상이 주로 쓰인다. PET 영상은 촬영하는데 200만원이 들 정도로 비용이 비싸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과정에 있는 후보물질이 있지만 아직까지 치매 원인치료제도 전무하다. 원인치료제는 일시적인 증상완화에 초점을 맞춘 기존 치매치료제와 달리, 베타아밀로이드 등 치매원인을 표적으로 삼는 치료제를 말한다.

묵 단장은 “치매 연구는 위험부담이 큰 만큼 공공이 나서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한다”며 “혈액이나 소변, 머리카락으로도 치매 조기 검진을 하고 새로운 원인치료 후보물질 발굴 등 핵심기술 확보에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후보물질 100개 중 4.1%가 신약 개발로 이어지는 다른 질병과 달리 치매는 그 비율이 0.5%에 불과하다. “치료제 개발이 실패로 돌아갔을 때 떠안게 될 부담이 커 민간에선 선뜻 나서기 어렵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연구단의 목표는 치매 발병을 5년 지연시켜 연간 치매 환자 증가 속도를 절반으로 낮추는 것이다. 묵 단장은 “이렇게 될 경우 2030년 치매환자 수는 105만명으로 현 추세 전망치보다 약 22만명 줄어들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치매는 노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질병 1위이자, 환자 개인ㆍ가족ㆍ국가가 모두 짐을 떠안는 사회적 질병”이라며 “치매가 더 이상 난치병이 아닐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변태섭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