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법으로 경제환경 안정, 홍콩 번영 방파제" 강조
"美 제재 별 효과 없을 것... UN서 보안법 지지 우세"
"홍콩 경제가 추락하고, 제재가 강화되고, 인권은 더 열악해질 것이라는 미국의 주장은 모두 틀렸다."
중국은 2일 관영매체들을 동원해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 이후 고조되고 있는 미국을 위시한 국제사회의 우려를 조목조목 반박했다. 그러면서 "홍콩은 안정된 경제 여건 속에서 번영을 누릴 것"이라며 "미국이 걱정해야 할 건 자국 내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은 홍콩 경제가 어려움을 겪는 이유를 지난 1년간 지속된 시위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실제 홍콩은 투자 환경이 불안해지면서 글로벌 금융허브 순위가 6위까지 하락했고,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은 -8.9%로 1974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쪼그라들었다. 실업률은 15년만의 최고치인 5.9%까지 치솟았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지난해 6월 송환법 반대 시위 이후 경제 환경이 훼손되고 홍콩에 대한 투자자들의 믿음이 깨졌다"면서 "보안법은 홍콩 번영과 안정의 방파제"라고 강조했다. 홍콩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전부터 상당한 위기에 봉착해 있었고, 보안법이 홍콩의 재부흥을 이끌 기반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중국은 미국의 단계적 홍콩 제재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듯하다. 홍콩의 대외무역에서 중국의 비중은 1978년 9.3%에서 지난해 50.8%로 5배 이상 증가하는 등 중국이 홍콩 무역량의 절반을 소화하는 만큼 미국이 '특별지위'를 철폐하며 관세를 높여도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1조달러(약 1,200조원)에 달하는 홍콩 금융자본의 뚜렷한 이탈 징후도 아직 없고, 중국과 홍콩의 증시ㆍ환율은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유럽연합(EU)의 경우 보안법을 줄곧 비판하지만 미국과 달리 제재에 나설 움직임은 없고 심지어 미국도 홍콩에서의 기득권을 섣불리 포기할 수 없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보안법으로 인해 홍콩의 인권 상황이 악화될 것이라는 비판에 대해서도 중국은 요지부동이다. 중국 외교부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홍콩보안법 지지와 반대가 각각 53개국, 27개국이었던 데 대해 "주권국가의 내정에 간섭하지 말라는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동시에 중국은 "국제사회가 우려하는 건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을 비롯한 미국 내 참혹한 인권 상황"이라며 공세를 폈다. 장융허 서남대 인권연구소 교수 겸 상임이사는 "인권문제에 대한 미국과 서구의 이중잣대부터 비판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