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일본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차단을 명분으로 취한 한국인 입국 제한 조치는 가뜩이나 움츠러든 국내 산업계에 추가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일본의 이번 조치에 따른 가장 큰 충격파는 여행업계로 전이될 조짐이다. 코로나19 여파로 국내외를 막론하고 여행 수요가 급감한 상황에서 주요 해외여행지 중 하나인 일본 입국이 차단된 탓이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일본을 찾은 우리 국민 수는 2017~18년 700만명대로 정점을 찍은 뒤 지난해엔 7월 일본의 수출 규제 여파로 513만명으로 떨어졌지만 여전히 미국(190만명)의 2.7배에 달한다.
A여행사 관계자는 “지난해 7월 이후 일본 여행 수요가 80~90%가량 줄어든 상황”이라며 “코로나19와 일본 입국 규제가 장기화할 경우 여행업계 줄도산은 시간 문제”라고 말했다. B여행사 관계자는 “올해는 일본여행 수요가 좀 나아질 것으로 내다봤는데 오산이었다”며 “지금으로선 희망이 보이질 않는다”고 토로했다.
항공업계 역시 예외는 아니다. 지난달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대한항공 17개, 아시아나항공 11개 등 대부분의 항공사가 이미 일본 노선을 축소 조정했는데 이번에 일본 여행길이 사실상 차단되면서 대규모 운휴 결정도 잇따를 것으로 점쳐진다. 한 저비용항공사(LCC) 관계자는 “외국의 입국 제한 조치 하나하나가 뼈아픈 상황에서 지난해 국제선 매출의 24%를 차지했던 일본 노선마저 가로막혔다”고 푸념했다.
제조업계의 경우엔 일본이 무역규제 조치를 내린 게 아닌 만큼 피해가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대기업에선 일본 현지에 판매 조직을 구축해둔 데다 코로나19 확신으로 이미 출장 대신 비대면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해 왔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일본은 상대적으로 사업 규모가 크지 않고 일본 영업법인도 현지인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어 당장 대응책이 필요하진 않다”고 말했다.
일본 수출 비중이 높은 중소 제조기업의 상황은 다르다. 중소기업 관계자는 “현지 판매망이 탄탄한 대기업과 달리 중소기업은 일본에 직접 건너가 바이어를 만나야 주문을 받아올 수 있는 구조”라며 “이미 주문 받은 제품은 몰라도 신제품 수주는 쉽지 않을 수 있다”고 관측했다.
업계에선 특히 금형(금속틀) 제조업종이 ‘약한 고리’가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생산품 가운데 일본 수출 비중이 상당히 높은 데다가 대부분 중소기업이 종사하는 부문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대(對)일본 수출품의 품목별 비중을 보면 금형이 1.65%로 전체 12위를 차지했다.
강은영 기자 kiss@hankookilbo.com
김경준 기자 ultrakj75@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