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환자 가운데 두 번째로 사망한 54세 여성이 중증 환자 치료가 가능한 음압격리병실을 찾다가 경북을 벗어나 부산까지 이송된 것으로 확인됐다. 두 번째 사망자는 55세 여성으로 경북 청도 대남병원 정신병동에 입원 중이었던 21일 확진판정을 받고 같은 날 오후 4시 부산의 서구의 부산대병원으로 이송됐지만 도착 이후 오후 6시쯤 숨졌다.
22일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 환자는 신종 코로나로 인한 폐렴으로 사망했다. 중대본은 대구ㆍ경북 지역 의료기관이 아닌 부산대병원으로 환자를 이송한 까닭을 환자의 증세가 중증폐렴으로 악화해 집중치료가 필요한 상황이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상급종합병원의 집중치료가 필요한 상황에서 그 당시 비어있던 음압병상 가운데 가장 가까운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이 부산대병원에 있었다는 설명이다. 21일 오전 기준 대구와 경북의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음압병상) 가동률은 모두 100%였다. 부산(40%)과 경남(50%)은 그보다 낮았다.
정은경 중대본 본부장은 22일 오후 기자 설명회에서 “대구와 경남 지역에 상급종합병원급의 국가지정격리병상이 숫자가 그렇게 많은 상황은 아니다”라면서 “어제 대남병원에 입원했다가 사망하신 환자 분은 저희도 정말 안타깝고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라고 설명했다. 정 본부장은 “이 환자는 중증치료가 가능한 음압격리병상이 필요해서 중증환자를 볼 수 있는 부산대병원으로 격리이송을 했고 안타깝게 도착하시고 어느 정도 계시다가 사망했다”면서 “기저질환이 있거나 아니면 상태가 중증으로 변할 수 있는 환자에 대해서는 중증도 분류를 철저히 해서 치료가 가능한 병원을 배정하는 기능의 가동을 준비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다만 두 번째 사망자가 보다 가까운 병원으로 이송됐으면 생존 여부가 달라졌을지 에 대해서는 이날 기자 설명회에서는 질문과 답변이 오가지 않았다.
신종 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를 비롯해 정부 안팎의 의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환자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경미한 증세를 보이는 경증 환자들까지 음압격리병상이나 대학병원 수준의 집중치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에 입원시키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정부도 환자의 중증도와 의료기관 수준에 따라 환자 처치와 의료기관 역할을 나누는 감염병 관련 의료전달 체계 개편을 준비 중이다.
김민호 기자 kmh@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