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19년 경력단절 여성현황’
기혼여성 5명 중 1명은 ‘경력단절’ 중… 단절 사유 결혼ㆍ출산↓ 육아↑
일명 ‘경단녀’로 불리는 올해 경력단절 여성의 규모와 비중이 지난해보다 모두 소폭 줄었다. 하지만 육아로 인한 경력단절은 오히려 늘어났다. 특히 육아로 경력이 단절된 경우 결혼이나 임신ㆍ출산 때보다 재취업이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경력단절 여성현황’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경력단절 여성은 169만9,000명으로 지난해보다 14만8,000명(8.0%) 감소했다. 이에 따라 15~54세(경제개발협력기구 고용핵심연령대 기준) 기혼여성 884만4,000명 중 경력단절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도 1년 사이 1.3%포인트 하락한 19.2%로 집계됐다. 규모가 줄긴 했지만, 기혼여성 5명 중 1명은 여전히 경력단절을 겪고 있는 셈이다.
경력단절의 주된 사유는 △육아(38.2%) △결혼(30.7%) △임신ㆍ출산(22.6%) △가족돌봄(4.4%) △자녀교육(4.1%) 순으로 많았다. 결혼, 임신ㆍ출산 등으로 인한 경력단절은 전년보다 줄어든 반면, 육아로 인해 경력이 단절된 여성은 올해 64만9,000명으로 3만명이나 늘었다. 아이를 갖고 낳는 것보다 양육 과정에서 경력단절을 더 많이 겪고 있다는 뜻이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이전에는 결혼으로 인한 단절이 많았는데 결혼 시기가 늦어지면서 다소 줄어든 반면, 올해 갑자기 육아로 인한 경력단절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30대와 40대에서 육아로 인한 경력단절이 많았다. 30대 경력단절 80만6,000건 중 42.0%에 해당하는 33만9,000건이 육아로 인한 것이었다. 40대에서도 주된 사유로 육아를 꼽은 사람이 37.6%를 차지해 1년 전(31.4%)에 비해 6.2%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15~29세와 50~54세에서 가장 큰 경력단절 사유는 결혼이었다.
육아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은 재취업을 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을 겪은 뒤 현재 다시 일을 하고 있는 15~54세 기혼여성 221만4,00명 중 육아로 경력이 단절됐던 사람은 30만명(13.5%)에 불과했다. 반면 결혼(32.4%) 및 임신ㆍ출산(30.9%) 이후 재취업자는 배 이상 많았다. 경력단절 사유는 육아가 많은데, 육아 이후 재취업했다는 사람은 적은 것이다. 이에 대해 통계청 관계자는 “결혼이나 임신ㆍ출산보다 육아로 경력단절을 겪은 뒤 재취업하는 것이 더 어렵다고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경력단절 기간은 △5~10년(24.6%) △10~20년(23.7%) △3~5년(15.6%) 순으로 많았다. 경력단절 여성 중 구직단념자는 1만명으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다. 이들은 ‘원하는 임금수준이나 근로조건이 맞는 일자리가 없을 것 같아서’ 혹은 ‘근처에 일거리가 없었거나 없을 것 같아서’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손영하 기자 frozen@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