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자살률이 5년 만에 상승 반전했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18년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자살에 의한 사망자는 1만3,670명으로 전년보다 9.7%인 1,207명 증가했고 하루 평균 자살 사망자는 37.5명에 달했다. 한국의 자살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최상위를 지켜온 지 오래다. 연령구조 차이를 제거한 OECD 표준화 자살률은 OECD 평균이 11.5명인데 한국은 24.7명으로 두 배를 넘는다. 2003년 이후 2017년(리투아니아 1위)만 빼고 줄곧 1위였다.
특히 전년 대비 자살률이 10대(22.1%), 40대(13.1%), 30대(12.2%)에서 크게 증가한 것은 매우 우려되는 대목이다. 최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조사에서 학업부담, 성적 등의 문제로 청소년의 33.8%가 자살을 생각해 봤다는 조사결과와도 무관치 않다. 20~30대는 취업문제, 생활고 등이 요인이 됐을 가능성이 높다.
유독 우리나라의 자살률이 이토록 높은 이유에 대해선 여러 분석이 있다. 통계청은 지난해 유명인들의 연이은 자살에 따른 ‘베르테르 효과’가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지만 설득력이 약하다. 오히려 글로벌 금융위기 때나 외환위기 때 자살률 증가폭이 각각 20%, 40%대로 높아진 것과 연관성이 더 높아 보인다. 보건복지부가 지난주 말 ‘2018년 자살 실태조사’에서 밝힌 대로 최하위 계층에 오래 머물수록, 소득 수준이 종전보다 악화할수록 자살률은 더 올라갔다. 경제적 어려움이 자살과의 상관계수가 높다는 것이다. 보건사회연구원 설문조사 결과도 ‘자살을 생각해 본 적이 있다’고 답한 사람들이 주된 사유로 꼽은 것이 ‘경제적 문제’(34.9%)였다.
통상 경제적 불평등이 심화하면서 빈곤층이 늘어나면 자살 등의 극단적인 선택도 증가한다. 최근 들어 일가족이 생활고를 비관해 동반 자살하는 사건이 자주 발생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정부차원의 사회 안전망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데다 복지 전달체계에도 허점이 노출되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뿐만 아니라 시민사회 차원의 주변인에 대한 관심 제고와 공동체 복원도 필수적이다. 자살은 민관이 긴밀히 협조해야 예방할 수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