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측 “4월부터 9차례 간담회… 대응 방안 논의했다”
하나은행 노동조합이 “올해 4월부터 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의 손실 가능성을 인지하고 관련 부서에 대책 마련을 요구했지만 경영진이 안일하게 대응했다”고 21일 주장했다.
하나은행 노조는 이날 성명을 내고 “금리 하락 추세가 심각함을 감지한 자산관리 직원(PB)들이 4월부터 발행사인 하나금융투자가 콜옵션(매수청구권)을 행사하거나 고객이 손절매할 수 있도록 환매수수료를 감면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책을 마련해 달라고 관련 부서에 요구했다”고 밝혔다.
노조는 이어 “6월에는 노조가 이 상품에서 민원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담당 임원에게 직원 보호 대책을 요구했지만 경영진은 자본시장법 위배 가능성, 중도 환매수수료를 우대했을 때 다른 고객 수익에 미치는 영향, 배임 우려 등을 내세우며 안일한 대응으로 현재에 이르렀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또 이 사태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노조와 행장, 판매영업점 지점장, 본부장이 함께 참여하는 회의를 이날 열기로 했으나 경영진이 외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하나은행 측은 “4월부터 PB들과 9차례 간담회를 열어 상황을 공유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해 왔다”며 “손실 보전은 자본시장법상 금지돼 있다”고 반박했다.
앞서 하나은행은 2016년 10월부터 영국과 미국 이자율스와프(CMS) 금리에 연계한 DLF를 판매해 누적 2조원 가량을 판매했다. 현재 잔액은 3,800억원에 이른다. 하나은행 PB 약 180명이 고객에게 이 상품을 판매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나은행 노조는 “금융사들이 파생상품 비율을 낮추는 상황에서 국내 4대 금융지주 전체 파생상품의 40%가 하나금융에 집중돼 있다”며 “은행을 넘어 지주 경영진의 책임도 따져봐야 한다”며 “비이자이익을 강조하는 경영진 입맛에 맞추려고 무리한 상품 설계를 한 것은 아닌지, 시장 예측을 무시하고 판매를 결정한 귀책은 없는지, 콜옵션에 대한 발행사(하나금융투자)와 판매사(KEB하나은행) 대응이 적절했는지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민식 기자 bemyself@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