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세 거주자가 같은 지역에서 아파트를 매입하려면 전세보증금에 3억8,000만원가량이 추가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평균보다 3배 이상 높은 액수다.
16일 KB부동산 리브온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전국 아파트 매매전환비용은 1억2,62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세 입주자가 2년 계약 기간이 끝난 시점에 같은 지역의 아파트를 살 때 보증금에 추가로 부담해야 할 금액을 뜻하는 것으로, 현재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3억6,534만원에서 2년 전 전세가격 2억3,914만원을 뺀 가격이다. 서울은 전국 평균보다 3배 많은 3억8,421만원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하반기 전국 아파트 매매전환비용은 9ㆍ13대책 직후인 지난해 11월(1억3,352만원)과 비교하면 732만원 줄었다. 정부의 규제 정책 기조가 이어지면서 대출ㆍ세금 규제와 입주물량 증가 등의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아파트 매매가격이 올해 들어 0.04% 하락한 여파다.
시도별로 같은 기간 아파트 매매전환비용이 1,000만원 이상 감소한 곳은 울산(-1,620만원), 부산(-1,558만원), 강원(-1,389만원) 등 세 곳이다. 부산과 울산은 지역산업 침체까지 겹쳐 미분양 물량이 늘어나고 매수심리가 위축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강원은 늘어나는 입주물량으로 아파트값이 하락세다. 수도권은 경기(-633만원), 인천(-320만원), 서울(-296만원) 순으로 감소액이 컸다.
반면 세종(+3,832만원), 광주(+1,435만원), 대전(+440만원), 대구(+470만원), 전남(+105만원)은 9ㆍ13 대책 이후 아파트 매매전환비용이 상승했다.
2년 전에 전세 재계약 대신 집을 구입했다면 현재보다 내집 마련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었던 지역으로는 서울, 광주, 세종, 대구가 꼽혔다. 2년 전 아파트 매매전환비용과 비교하면 서울(+1억1,315만원), 광주(+934만원), 세종(+705만원), 대구(+583만원) 4곳은 부담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8억1,290만원으로 2년 전(6억1,755만원) 대비 1억9,535만원(31.6%) 올랐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은 매매가격 상승분의 6분의 1 수준인 3,386만원 오르며 지난달 4억6,255만원을 기록했다. 황재현 KB국민은행 부동산플랫폼부 팀장은 “분양가 상한제가 확대되면 시세보다 저렴한 아파트 분양 물량이 늘어나 전세를 유지하려는 ‘전세 선호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김기중 기자 k2j@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