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 설득해 절충안 마련
“정태호 청와대 일자리수석은 광주형 일자리를 실질적으로 준비해 오신 분으로서 현 정부가 일자리 정책에 한층 더 힘을 싣겠다는 의지로 해석해달라.”
지난해 6월 청와대 인사 개편 당시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은 정 수석의 발탁 인사 이유 중 하나로 사회적 대타협 모델인 ‘광주형 일자리’를 꼽았다.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 청와대 정책기획비서관을 지내며 광주형 일자리 문제를 챙겨온 정 수석이 이번 협상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31일 문재인 대통령이 심혈을 기울인 ‘광주형 일자리’ 협상이 타결되자 숨은 주역으로 평가 받는 정 수석의 발탁 이유가 다시 회자되고 있다. 정 수석은 부임 이후 광주를 오가며 이해당사자들의 목소리를 청취하는 등 협정 타결의 밑자락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해 12월 협상이 타결 직전까지 갔다가 노동계 반발로 무산됐지만 이후 재차 노동계를 설득해 절충안을 만든 게 정 수석이다. 당시 노동계가 ‘35만대 생산까지 단체협약 유예’ 조항에 반발하자, 해당 조항은 유지하되 ‘노사 합의로 임금 및 근로조건을 결정하도록 하는 근로자참여법 등을 보장한다’는 취지의 내용을 합의안에 포함시키자고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지난 26일 ‘유시민의 알릴레오’ 팟캐스트 방송에 출연한 자리에서 ‘일자리수석 맡은 것을 후회하지 않나’는 질문을 받자 “제가 언론 인터뷰를 하며 ‘일자리가 있으면 지옥이라도 가겠다’고 했는데, 지옥에 가기 전에 죽을 것 같다”고 고충을 토로하기도 했다.
1991년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보좌관으로 정계에 입문한 정 수석은 참여정부에서 정무기획비서관, 정책조정비서관, 기획조정비서관, 대변인, 정무비서관을 지내며 ‘정책통’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해찬 의원의 옛 지역구인 서울 관악을 총선에 두 차례 출마했지만 낙선하기도 했다. 이런 인연으로 정치권에선 정 수석이 21대 총선 때 관악을 지역구에 차출될 것이라는 관측이 무성하다.
김현빈 기자 hbkim@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