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물가 오름세가 심상치 않다. 연초부터 생필품ㆍ가공식품 가격이 줄줄이 오른 데 이어 채소 쌀 등 필수 식재료 가격도 치솟고 있다. 2일 통계청이 공개한 ‘4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 같은 달에 비해 1.6% 올랐다. 단순 수치만 보면 7개월 연속 1%대로 안정적으로 관리되는 수준이지만, 유독 서민경제와 밀접한 장바구니 물가 증가세가 가팔라 걱정스럽다.
물가 오름세는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인 8.9% 상승한 농산물이 주도했다. 감자 값이 76.9% 치솟은 것을 비롯해 쌀(30.2%) 호박(44.0%) 오징어(29.1%) 등 농수산물 가격이 일제히 올랐다. 밥상물가의 대안인 외식물가도 1년 전에 비해 2.7% 올랐다. 구내식당 식사비(3.7%) 갈비탕(6.3%) 김밥(4.9%) 피자(1.6%) 등 오르지 않은 품목을 찾기 힘들 정도다. 가사도우미료(10.8%)와 공공주택 관리비(6.8%)도 크게 올랐다.
앞으로가 더 문제다. 계절적으로 식품물가가 오르는 여름철을 목전에 둔데다 최근 70달러 선까지 상승한 국제유가가 불안한 변수다. 국제유가의 경우 원화절상 때문에 물가에 크게 반영되진 않고 있지만, 언제 물가 교란 요인으로 돌변할지 모른다. 하반기 중 택시 지하철 상하수도 등 공공요금도 인상될 예정이어서 가계부담은 더 커질 전망이다.
정부는 외식비 상승이 식재료 원가 상승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지난해 농축수산물 상승률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3배 가까운 5.5%에 달했던 만큼 틀린 해석은 아닐 것이다. 문제는 이런 정부의 진단이 너무 안일해 보인다는 점이다. 최근의 외식 및 서비스물가 오름세에는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부담과 세금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다고 봐야 한다. 국민이 느끼는 체감물가가 실제 물가지수와 큰 차이를 보인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지난달 한국은행의 물가인식(지난 1년간 소비자들이 인식한 물가상승률 수준)은 2.5%로 실제 물가지수보다 0.9%포인트 높았다. 물가상승 원인 및 체감물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있어야 올바른 대책도 나올 수 있다.
물가는 흔히 ‘경제의 체온계’로 불린다. 특히 먹거리 물가는 서민가계와 소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가계부채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가운데 먹거리 물가가 치솟으면 가계의 실질구매력 감소로 이어져 내수에 악재가 될 게 뻔하다. 정부는 원재료 가격만 탓하며 손 놓고 있을 때가 아니다. 서민가계 안정을 위한 적극적인 물가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