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헬스프리즘] 유방암 치료 뒤 5년 지났다고 방심 안돼
알림

[헬스프리즘] 유방암 치료 뒤 5년 지났다고 방심 안돼

입력
2016.11.07 20:00
0 0

조영업 연세암병원 유방외과 교수

조영업 연세암병원 유방외과 교수
조영업 연세암병원 유방외과 교수

2003년 김모(당시 45세) 씨는 오른쪽 유방에 작은 멍울이 잡힌다며 병원에 찾아왔다. 검사 결과 유방암 1기였다. 부분절제술로 암을 제거한 뒤 호르몬 치료를 했다. 그 뒤 정기적으로 초음파검사를 받았다. 2010년까지는 꾸준히 병원에 왔다. 하지만 이사한다는 말을 남기곤 병원에 오지 않았다. 다른 병원에라도 잘 다닐 것이라 생각했다. 2014년 김씨는 이번에는 왼쪽 가슴에 멍울이 만져진다며 찾아왔다. 검사 결과 2기 유방암이었다. 그나마 부분절제술을 할 수 있어서 다행이었다. 이후로는 정기 검진을 빼먹지 않고 있다. 김씨는 운이 아주 나쁜 사례는 아니다. 암 완치 판정을 받았다고 방심하다가 재발해 사망하는 경우를 종종 보기 때문이다.

국내 유방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91.2%(유방암백서)로 선진국보다 높은 편이다. 4기(34%), 3기(75.8%)는 그리 높진 않지만, 2기(91.8%) 1기(96.6%), 0기(98.3%)는 5년 생존율이 무척 높다. 조기 발견이 많아졌고, 수술과 방사선 치료 발전과 표적치료제를 비롯한 새로운 항암제 도입으로 5년 생존율보다 10년 생존율을 완치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그렇다면 완치 판정을 받았는데, 왜 암이 재발할까? 완치(完治)라는 말을 오해한 측면이 강하다. 많은 사람이 의학은 ‘yes'와 ’no‘의 구별이 확실하다고 생각한다. 그렇지 않다. 의학은 통계 학문이어서 0%나 100%는 없다. 최첨단 장비라도 암을 100% 찾아내지는 못한다. 암 완치판정도 마찬가지다. 5년 간 생존한 암 환자를 분석해보니 통계적으로 완치와 비슷하다는 것일 뿐, 암에 걸리지 않은 상태와 100% 같다는 뜻은 아니다.

완치를 완전한 치료(complete recovery)로 받아들이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암 치료는 이보다 관해(寬解ㆍremission)에 가깝다. 이는 완전한 병 회복이 아니지만 가정ㆍ사회생활로 복귀해 정상생활을 하는 상태다. 이 때문에 필자는 유방암 치료 뒤 5년이 돼도 가급적 ‘완치’라는 말을 쓰지 않는다.

유방암 위험인자는 ▦이른 초경 ▦늦은 폐경 ▦임신ㆍ출산ㆍ수유 경험이 없는 것 ▦음주 흡연 ▦호르몬 대체 요법 ▦유방암 가족력 등이 꼽힌다. 이보다 더 큰 위험인자가 유방암 경험이다. 외국 연구에 따르면 한쪽 유방에 암이 생겨 치료한 사람이 유방암에 다시 걸릴 위험이 매년 0.5~1%씩 늘며 평생 16%의 발병 가능성이 있다. 진료실에서 보면 암 치료 뒤 5년이 지나면 환자의 긴장감이 확실히 떨어진다. 유방암 강좌를 비롯해 암환우회 출석도 뜸해지고, 금주 금연 운동 검진 등 관리도 느슨해진다. 암 세포가 좋아하는 조건이 딱 만들어지는 것이다.

암 완치 판정을 받은 뒤에도 계속 걱정하며 살라는 말이 아니다. 하지만 완치 판정이 예전 삶으로 돌아가라는 보증서는 결코 아니다. 유방암 경험자를 만날 때마다 “술만이라도 절대 마시지 말라”고 강조한다. 알코올은 체내 안드로겐을 에스트로겐으로 방향족화시켜 에스트로겐의 양이 증가돼 유방암 발생 위험을 높이고 재발도 늘리기 때문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