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정상화의 길이 멀고도 멀다. 정진석 원내대표가 24일 각각 비박계와 친박계 수장 격인 김무성 전 대표와 최경환 의원을 비공개로 만나 수습 방안의 가닥을 잡는가 싶었다. 하지만 이내 밀실 회동 논란에 휩싸여 분란을 키운 꼴이 됐다. 20대 국회 임기 개시가 코 앞이고, 국회법 논란 등 현안이 쌓여 있는데 집권 여당의 기능부전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걱정스럽다.
3인 회동 결과를 둘러싸고 당내에 일고 있는 반발과 소란은 당연하다. 회동이 형식과 절차 면에서 적잖은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비공개 회동은 과거 3김 시대의 밀실 거래를 떠올리게 했다. 또 계파 청산을 외쳐온 정 원내대표가 친박ㆍ비박 좌장들과 만나 당의 진로와 수습 방안을 논의한 것은 앞뒤가 안 맞는 일이다. 총선 참패에 책임을 져야 할 김 전 대표와 최 의원이 무슨 대표성이 있느냐는 당내 일각의 비판도 무리가 아니다. 이날 회동이 자문 내지 의견청취 성격이 강한데도 정 원내대표가 ‘당 정상화 방안 합의’라고 발표한 것도 미숙했다.
하지만 비대위 및 혁신위를 출범시키기 위한 전국위가 친박계 보이콧으로 무산된 뒤 지도체제 공백이 길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유일한 선출 대표인 정 원내대표가 다각도로 수습방안을 모색하는 것 자체를 비난할 일은 아니라고 본다. 당내 역학구도를 감안할 때 영향력이 큰 계파 수장들의 의견을 듣고 서로가 납득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필요도 있을 것이다. 이날 회동에서 의견이 모아졌다는 비대위와 혁신위 통합, 비대위원장의 외부 영입은 당 안팎에서 많이 제기된 방안이기도 하다.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를 도입키로 한 것은 비박_친박계 간 대권_당권 밀약 의구심을 불러일으키고 있지만 이 역시 지난 총선 공천 과정에서 드러난 집단지도체제의 무기력 실태를 떠올리면 잘못된 방안이라고 보기 어렵다.
문제는 앞으로의 절차다. 3인 회동의 당 정상화 방안은 구속력이 없는 만큼 최소한 의원총회 논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정 원대대표도 25일 내주 초 의총을 열어 결론을 내겠다고 밝혔다. 3인 회동의 정상화 방안에 대해 친박계와 비박계 내부에서도 반발이 쏟아진 만큼 결과는 낙관하기 어렵다. 계파 차원과는 또 다른 각 개인의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탓이다. 이를 조정하고 가닥을 잡아가야 할 정 원내대표의 어깨가 무겁다. 중요한 것은 총선 민의를 겸허히 받아들여 뼈를 깎는 쇄신 의지를 보일 수 있느냐다. 계파 등 당내 이해관계에 휘둘리기보다 국민만 바라보고 뚜벅뚜벅 걸어 가야 당 정상화의 길이 보일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