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등 조선업계 ‘빅3’의 올해 적자규모가 7조4,000억원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 우울하다. 특히 대우조선해양의 적자 규모는 5조3,000억여원에 이른다. 이대로 가면 부채비율이 4,000%를 넘어서 신규수주마저 불가능해진다. 삼성중공업과 현대중공업도 각각 1조5,000억원과 6,000억원의 적자가 예상된다. 그나마 이들 두 기업은 부실규모가 상대적으로 적고, 선제적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라 지켜볼 일이다.
하지만 주인 없는 대우조선의 경우 천문학적 규모의 손실에도 불구하고 자구노력에 별 진전이 없다. 금융당국과 채권단은 지난 주말 대우조선에 대한 4조3,000억원의 자금 수혈 계획을 수립했다가 보류한 바 있다. 대우조선 스스로 고강도 자구계획의 실천과 노동조합 동의 등이 전제되어야 지원하겠다는 입장이다. 최경환 경제부총리는 “법정관리에 가는 한이 있더라도 확실한 자구책이 필요하다”며 대우조선 노사가 강도 높은 자구계획을 마련하고 이행을 약속하라고 요구했다. 산업은행도 구조조정본부장을 거제 옥포조선소로 내려 보내 노조와 면담하게 하고, 노조도 대의원총회를 개최하는 등 부산한 움직임을 보였다.
하지만 대우조선이 아무리 자구노력을 한다 하더라도 회생이 가능할지는 의문이다. 대우조선은 당장 11월 말 3,000억원의 회사채를 갚아야 한다. 게다가 연말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채무규모가 1조2,000억원 수준이다. 이미 적자규모가 엄청난 데다 당분간 조선업황은 흑자를 기대하기 힘들다. 수익은 없는데 빚은 계속 갚아야 하는 상황이니 정부만 쳐다보는 것이다. 이런 상황이라면 정부의 지원이 자칫 ‘밑 빠진 독에 물 붓기’가 되어 경제에 큰 주름살을 지울 가능성이 크다. 사태가 이 지경이 되도록 정부나 산업은행은 뭘 했는지 궁금하다.
우리 조선업계에 위기가 닥친 것은 ‘빅3’가 해양플랜트 사업에 무리하게 뛰어들면서 시작됐다. 해양플랜트 사업에 대한 기술력을 확보하지 못한 상황에서 저가 수주를 통해 출혈 경쟁을 하다 부실 덩어리로 전락한 것이다. 게다가 대우조선에는 전직 관료들이 낙하산으로 들어와 별 하는 일도 없이 억대 연봉이나 자문료를 받고, 노조 역시 지난달 임금동결에 합의하면서 직원 1인당 900만원씩 격려금을 받기로 하는 등 ‘도덕적 해이’의 극치를 보였다. 뼈를 깎는 자구노력을 해도 회생이 쉽지 않은 상황임을 감안하면 기막힌 일이다. 이래서야 국민들이 혈세를 대우조선에 쏟는데 동의할 수 있겠는가. 이번에야말로 퇴출도 불사한다는 각오로 대우조선 구조조정에 총력을 쏟기를 정부에 당부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