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역사 경시 탈피해야 국가브랜드 걸맞은 존경"
알림

"역사 경시 탈피해야 국가브랜드 걸맞은 존경"

입력
2015.08.12 15:36
0 0

해방70년, 수교50년을 맞아 한일양국의 시민 1,000여명과 함께 피스&그린보트에 몸을 실었다. 여기에는 일본이라면 치를 떠는 반일 인사도, 한국을 업신여기고 싫어하는 혐한파도 없다. 한일우호를 바라고 평화와 민주주의를 사랑하고 환경문제에 관심이 많은, 그래서 한일연대의 필요성을 느끼는 시민으로 가득하다. 부정과 증오가 없는 선상은 마치 “피스&그린공화국”같아 이대로 세계일주를 떠나고픈 생각마저 들었다. 이런 이상적인 공간이기에 ‘내가 만일 일본이라면…’이라는 역지사지의 상상의 나래를 펴본다.

일본한테 한국은 눈엣가시같은 존재다. 국민작가 시바료타로(司馬遼太?)의 “언덕위의 구름”처럼 승승장구하는 근대일본의 성공스토리나 ‘아시아는 하나’라는 아시아주의의 이상은 한국의 식민지지배라는 모순 앞에서 주춤한다. 전쟁을 반성하고 평화를 맹세해도 식민주의의 유산은 위안부 군함도 등 또 다른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한다. 일본이 피해자가 될 수 있는 원폭에서조차 수만명의 조선인이 희생당했다. 아마도 적지 않은 일본인이 속으로 한국이 이 세상에 없으면 얼마나 좋을까라고 한번쯤은 생각했을 것이다. 차원은 다르지만 축구나 김연아나 여자골프를 볼 때조차도…

하지만 그럴수록 일본은 한국(조선)이라는 과제를 회피하고 왜곡해서는 안된다. 일본이 한국과 관련된 역사문제, 인식문제를 풀고 한국과 아시아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면 더이상 독일과 비교당하는 일도 없을 것이고 국제사회에서 그 경제력과 문화력에 걸맞은 존경과 대우를 받을 것이다. 내가 일본인이라면 한국이라는 오래된 숙제를 풀고 홀가분해지고 스스로를 해방시키고 싶다.

그 숙제는 결코 어려운 일이 아니다. 우선 한국의 진실을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일본에서 흔히 말하듯 한국은 역사문제로 일본을 비판하고 한일전에 목숨을 거는 ‘귀찮은 이웃’이자 반일국가인가? 아니다. 일방적인 침략과 식민지배를 당하면서도 일본을 용서하고 일본으로부터 배우고 세계에서 가장 일본문화를 좋아하는 나라이다. 한국인이 가장 많이 찾는 외국은 늘 일본이고 서울에는 일본브랜드와 쿨저팬이 넘쳐난다. 그리고 한국에서 가장 사랑받은 작가가 무라카미 하루키라는 것이 모든 것을 말해준다. 또한 한국은 일본에게 고맙고도 미안한 존재이다. 전쟁에 동원되고 전후에는 (일본을 대신하여) 분단의 아픔까지 겪어야 했다. 그 분단에 의한 한국전쟁으로 일본은 부흥의 길을 걷게 되었으니…내가 일본이라면 한국친구에게 이렇게 말할 것이다.“고멘, 아리가또(미안하다, 고맙다)”

외교에 있어서는 내가 아베총리라면 스스로 롤모델로 삼고 있는 기시노부스케(岸信介)전총리를 참고할 것이다. 기시는 미일안보체제를 확립했지만, 아시아를 중시하고 아시아지역주의적인 발상도 지니고 있었다. 한일관계를 개선코자 소위‘쿠보타망언’과 일본의 역청구권을 철회하고 이승만대통령에게 고향선배인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에 대해 사과하는 친서를 전하는 등 한일관계에 적극적이었다. 그뿐아니라 아시아개발기금을 제창하고 인도의 네루 수상과 함께 영미의 핵실험에도 반대하고, 58년의 레바논사태 때에는 미군철수를 요구하는 등‘대미자주’적인 자세도 취해 일본의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 한일경제협력위원회 초대위원장을 맡은 기시라면 미국과의 동맹관계, 중국의 부상에 대한 대응, 동아시아지역주의의 추진에 있어 가장 중요한 파트너인 한국과의 관계를 공고히 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인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독도문제는 신중하게 다룰 것이다.

고이즈미전총리는 야스쿠니문제를 정치가 아닌‘마음의 문제’라고 했다. 군국주의 미화가 아니라 희생한 영령을 추도하는 마음의 발로라는 것이다. 진정 그렇다면, 야스쿠니와 평화주의가 공존할 수 있다면 일본은 그 마음을 직접 한국민에게 성실하게 전하면 된다. 그리고 위안부할머니의 손을 잡고 따뜻한 말 한마디를 건네주길 바란다. 역사문제 등 한일 현안에 대해 강자의 논리인‘법대로 하자’가 아니라 그야말로 ‘마음의 문제’로 접근하기를 바란다.

한류가 일본에서 퇴출되는 분위기는 일본을 위해서도 좋은 일이 아니다. 방송을 도배하다시피한 한류드라마와 K-POP 아이돌은 지상파에서 거의 볼 수없고 인기모창프로그램이나 예능프로에서도 한류는 사라졌다. 이 전체주의적인 획일성은 과거의 한국을 보는 듯해서 씁쓸하다. 예전에 가수이자 일본을 대표하는 멘토인 미와 아키히로(美輪明宏)는 일본에서의 한류확산은 정통파나 실력파가 인정받는다는 의미에서 일본이 제대로된 사회가 되고 있는 증표라고 말한 바 있다. 장기불황과 일본적 시스템의 노쇠화로 침체된 사회분위기 속에서 역동적인 신한국에 주목하는 ‘룩코리아LOOK KOREA’ 현상이 한류를 지탱하는 힘이었다. 사실 한류가 인기있던 시절의 일본은 정권교체도 실현되고 동아시아공동체 담론도 활발했다. 내가 일본이라면 늘 그랬듯이 한국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일본사회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고 싶다. 물론 향후 문화교류는 연예계 중심이 아닌 문학 예술 분야 등 좀더 깊이 있는 교감을 통해 문화적 공동체로 이어갈 수 있기를 희망해 본다. 마침 이번 항해에 동승한 은희경 김연수같은 한국작가의 번역책이 나온 것은 다행이다. 가까운 미래에 한일정상이 서로의 문학에 대해 대화할 수 있는 성숙한 한일관계를 꿈꿔본다.

부산을 떠난 배가 조용필의 가락에 맞춰 다시 부산항으로 돌아왔다. 이 바다는 한반도와 일본을 잇는 바다이며 러시아와 중국과도 연결된다. 이번 항해를 통해 우리는 국경으로 단절된 것이 아니라 바다로 연결된 한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그런 동북아의 지중해같은 바다를 일본은 근대이후 ‘니혼카이(일본해)’라 부르고 있다. 일본인에게는 너무나 익숙한 표현이지만 내가 일본인이라면 한배를 타는 동안 그 점이 조금 불편하고 쑥스러웠을 것같다. 한일관계는 이런 사소한 염치와 상대에 대한 작은 배려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이 아닐까.

권용석ㆍ일본 히토쓰바시 대학 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