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도 구인난에 허덕이는데…"
경기 시흥에서 박스 제조공장을 운영하는 신 모(57) 사장은 주당 근로시간을 52시간으로 단축한다는 당정협의 내용을 듣고 깊은 한 숨을 내쉬었다. 그는 "회사의 막내가 4년 전 입사한 대리"라며 "지난해까지 매년 신규채용 공고를 냈지만 지원자가 한 명도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근로시간 단축은 결국 신규채용을 늘리라는 소리인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중소기업 기피 현상이 심해져 쉽지 않다"며 "가뜩이나 인력부족으로 애를 먹는 중소기업의 생산성이 더욱 낮아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경기 하남에서 인쇄업을 하는 방 모(60) 사장 역시 "비정규직 축소, 파견직 제한 등 고용 유연성이 점점 낮아지는 상황에서 갑자기 수요가 늘어났을 때 생산을 늘릴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 연장근로였다"며 "근로시간이 단축되면 눈 앞의 이득을 보고도 발만 동동 구르는 상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재계 단체들 역시 근로시간 단축시 기업피해를 우려했다. 중소기업중앙회 관계자는 "구인난을 겪는 중소기업에게 채용을 늘리라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며 "정부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복지격차를 해소하려는 노력부터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 관계자는 "근로시간이 단축되면 거기 맞춰 임금도 줄여야 할텐데, 노조는 현 수준의 임금 보전을 요구할 것"이라며 "새로운 노사 갈등의 씨앗이 될 수 있다"고 걱정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관계자 역시 "지난 2010년 노사정위원회를 통해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근로시간을 줄여나가기로 합의를 했다"며 "그런데도 근로시간 단축을 갑자기 법제화하는 것은 노사간 합의를 무시하는 처사"라고 강조했다.
박주희기자 jxp938@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