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최영성 교수 논문 '추사 금석학의 재조명…"북한산 순수비 발견자는 추사가 아니다"

알림

최영성 교수 논문 '추사 금석학의 재조명…"북한산 순수비 발견자는 추사가 아니다"

입력
2007.12.03 00:29
0 0

“…마침내 이를 진흥왕의 고비(古碑)로 단정하고 보니, 1,200년이 지난 고적(古蹟)이 하루 아침에 크게 밝혀져서 무학비라고 하는 황당무계한 설이 변파(辨破)되었다…”ㆍ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ㆍ1786-1856)<진흥이비고(眞興二碑攷)>

북한산 진흥왕순수비를 처음으로 발견한 학자, 처음으로 해석한 학자가 추사라는 기존의 학설이 잘못됐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예상된다.

최영성 한국전통문화학교 문화재관리학과 교수는 최근 추사학회에서 발표한 <추사 금석학의 재조명-사적 ‘고증’ 문제를 주안목으로> 이라는 논문에서 진흥왕 순수비의 첫 발견자는 추사가 아니라 유본학(柳本學ㆍ1770~?)이라고 주장했다.

최 교수에 따르면 추사가 북한산비를 진흥왕순수비로 심정(審定; 실제로 살펴서 확정하는 일)했지만 이미 당대에는 북한산비의 존재를 알고 있는 지식인들이 있었다.

그는 그 근거로 서유구(徐有榘ㆍ1764-1845)의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 를 제시한다. 서유구는 이 책 제5 이운지(怡雲志)의 ‘예완감상’(藝翫鑑賞)’에서 “…비봉(碑峯)은 도성 창의문(彰義門) 바깥에 있으니 그곳에 신라진흥왕 북순비(新羅眞興王北巡碑)가 있다. 글자는 모두 마멸되고 겨우 10여 글자만 알아볼 수 있을 뿐이다”라는 문암록(問菴錄)의 구절을 인용한다.

문암록은 추사의 선배 학인인 유본학의 것으로 유본학은 금석학의 대가였던 유득공(柳得恭ㆍ1749-1807)의 장남이다. 그는 시에 뛰어나 자하(紫霞), 신위(申緯)와 교류가 많았으며, 금석학과 서화에도 정통했다. 문암문고(問菴文藁)와 문암집(問菴集)을 남겼지만, 문암록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최 교수는 “문암록은 일제시대 때 사라진 것으로 추정되지만, 실사구시를 중시하는 당대 최고 학자인 서유구가 자신의 글에 인용했다는 점에서 근거가 확실하다”며 “1812~1813년 추사가 문암의 시문집을 3차례나 열독했다는 연구도 있는 만큼 추사는 이들로부터 북한산진흥왕 순수비에 관한 예비지식을 얻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최 교수는 이와 함께 “‘진흥(眞興)’이 시호가 아니고 생존시 부르던 칭호”라는 해석역시 추사의 독창적인 아이디어가 아니라 유득공의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유득공은 <사군지(四郡志)> 에서 “진흥왕의 이름은 삼맥종(三麥宗)으로 설혹 이름을 삼았다 하더라도 소명(小名 ㆍ아명)이 있었을 것이다”라고 밝혔는데, 이 구절은 생전의 이름으로서 사후에 시호를 삼는 이명위시(以名爲諡)설을 추사에 앞서 유득공이 제시했다는 근거라고 그는 밝히고 있다. 진흥이 단순한 이름인지 시호인지의 여부는 북한산비가 진흥왕대에 건립됐는지 사후에 건립됐는지를 밝히는 중요한 단서다.

최 교수는 “진흥이비고에서 보여준 추사의 정박(精博)한 고증의 성과를 폄하하려는 생각이 아니라 있는 사실을 충실하게 밝히거나 새롭게 해석해 추사를 보다 객관적으로 보고자 하는 논문”이라며 “<해동비고> <해동금선존고> 등 최근 발견된 추사관련 자료가 일반에 공개되면 좀더 객관적 연구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왕구 기자 fab4@hk.co.kr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를 작성한 기자에게 직접 제보하실 수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리며, 진실한 취재로 보답하겠습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