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자원부장관의 외제 관용차가 단돈 1원에 미국 포드사의 ‘링컨LS’로 낙찰된 데 대해 뒷말이 많다. 이 제품은 ‘대통령의 차’로 알려진 링컨시리즈의 최신모델.산자부 관계자는 15일 “시가가 5,600만원인 수입차를 사실상 공짜로 타게돼 예산을 아끼고 여론의 역풍도 막았다”며 “비슷한 시기에 유럽차 사브를 5,000만원선에 수의계약으로 산 통상교섭본부 비하면 우리가 한수 위”라고 자화자찬했다.
하지만 타부처와 관련업계 관게자들은 “선진국 클럽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각료가 고급승용차를 공짜로 구입하여 타고 다닌다는게 창피한 일”이라며 “국제사회에서 ‘공짜 좋아하는 나라’로 손가락질받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승용차구매가 정책적 고려에 의한 것인 만큼 최소한 적정원가는 부담하는 선에서 입찰을 실시했어야 했다”고 강조했다.
당초 이 입찰은 유럽과 미국의 자동차 통상압력을 줄여보자는 ‘일종의 쇼’로 시작됐다. 그래서 가장 낮은 가격을 선택하는 일반 입찰과 성격이 달랐고, 국민들도 정부의 ‘냉가슴’을 알기에 큰 거부감을 표시하지 않았다.
문제는 정부가 쇼를 쇼로 끝내지 않았다는 데 있다. 대개 통상문제는 실리외에 자존심과 명분의 싸움이고, 기(氣) 싸움이기도 하다. 중국과의 마늘분쟁에서 보듯, 때론 맞을 때 맞더라도 먼저 시비를 걸어야 하는 것이 통상문제다.
건설·토목공사 발주 때 적정가격의 85%에 못미치는 저가 입찰을 배제토록 시장지도를 해 온 게 다름 아닌 정부다. 재경부 관계자는 “적정제품을 적정가격에 당당히 사겠다는 취지가 무색해졌다”며 “외제차 공짜구매는 근시안적인 통상정책의 단면을 보는 듯해 씁쓸하다”고 지적했다.
최윤필기자
walde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