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여 합당이 확정되기도 전에 이를 전제로 한 신당의 지도체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특히 동교동계를 중심으로 한 DJ진영은 벌써부터 최대한 기득권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데 고심하고 있어 합당과정에서 DJP 두 진영간의 신경전이 만만찮을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현재 여권내에서 거론되고 있는 신당 지도체제안은 크게 세 가지다. 1안은 「총재-대표위원-최고위원」의 집단성 단일지도체제. 총재는 김대중 대통령, 대표위원은 김종필 총리, 최고위원은 제3의 영입인사 또는 기존 양당내의 지역대표성 인사들로 채운다는 내용이다.
대통령이 총재를 맡았던 역대 여당의 예에 비춰볼 때 사실상 단일지도체제이다. 2안은 「명예총재-총재-최고위원」체제. 집단지도체제의 성격이 일부 가미된 단일지도체제이다.
김대통령은 명예총재로 물러나고 김총리가 총재, 당내 중진들이 최고위원을 맡는다는게 골자다. 최고위원 경선론도 함께 나온다. 3안은 2안중 총재와 최고위원사이에 대표위원자리를 만드는 것이다. 이는 세 가지 안중 집단지도체제의 성격이 가장 강하다.
국민회의측은 1안에 비중을 두면서도 JP를 유인하기 위해선 2·3안도 고려할 수 있다는 분위기이다. 둘 중에서도 「명예총재-총재-최고위원」구조의 2안을 더 현실성있게 평가하는 견해가 많다. 『대표직을 굳이 만들 필요가 없고 두더라도 외부 영입인사에게 이를 줄 수는 없다』는 인식이 강하다.
『총재를 맡으려는 JP의 의도는 통합신당을 실질적으로 장악하기 위해서인데 당무장악의 걸림돌이 될 수도 있는 대표직 설치를 JP가 수용할 가능성이 적다』는게 주된 이유.
또 『설사 대표직을 만들더라도 총재를 자민련측이 맡으므로 당무를 실질적으로 맡아 수행할 대표직은 당연히 우리 쪽에서 맡는게 견제와 균형의 원칙에도 맞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에 비춰보면 16일 일부 언론들이 보도한 「JP 총재-한나라당 이한동 고문 대표」안은 아직은 설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평가된다.
신효섭기자
hsshi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