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북한에 살아 있는 국군포로를 233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94년 생환한 조창호(趙昌浩)소위를 비롯, 국군포로 양순용(梁珣容) 장무환(張茂煥)씨 등의 증언과 귀순자들이 제공한 정보를 종합한 것으로 숫자는 계속 늘고 있다.그러나 정부는 아직 한국전 당시 끌려간 국군포로가 얼마나 되는지, 또 몇명이 생존해 있는지 정확히 파악하지는 못하고 있다. 국방부는 96년 7월 「국군포로실종자 대책위원회」를 만들어 전사가 확인되지 않은 실종자 1만9,000여명을 행정적으로 전사자로 분류, 유족에게 보훈연금을 지급하고 있다. 북한은 전쟁 당시 6만5,000명의 한국군을 생포했다고 발표했으나 53년 포로교환 때는 8,343명만 인도했다. 중국도 90년 항미원조전사(抗美援朝戰史)를 발간하면서 국군포로를 3만7,815명으로 기록, 생존 국군포로는 정부가 파악한 숫자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귀환한 조씨 등의 증언에 따르면 미송환 국군포로는 「해방전사」라는 호칭으로 북한에서 최하층신분으로 분류돼 본인은 물론 가족들까지 차별대우를 받고있으며 함북·평북 등지의 탄광에서 일을 하고 있다.
정부는 국군포로가 잇따라 생환하자 뒤늦게 지난달 총리실 통일부 국방부등 11개 유관기관 합동으로 「범정부차원 국군포로대책위원회」를 구성, 국군포로와 동반 귀환한 가족에 대한 지원 국제기구를 통한 북한억류 국군포로의 송환 제기 제3국에 체류하고 있는 탈북 국군포로의 국내입국지원 등을 추진중이다. 정덕상기자 jfurn@hankookilbo.co.kr
>
(C) COPYRIGHT 1998 THE HANKOOKILBO -
KOREALINK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