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대한방직 개발 발목 잡는 '맹꽁이'… 사업자 "공장 석면이 더 문제"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대한방직 개발 발목 잡는 '맹꽁이'… 사업자 "공장 석면이 더 문제"

입력
2024.07.03 14:48
수정
2024.07.04 11:17
0 0

전북환경운동연합, 맹꽁이 울음소리 확인
"이주 후 생존율 5%…원형 보존해야" 촉구
자광 "사람 사는 환경 만드는 게 먼저"

옛 대한방직 전주공장 부지. 전주시 제공

옛 대한방직 전주공장 부지. 전주시 제공

전북 전주시의 '마지막 노른자 땅'이라 불리는 옛 대한방직 터 개발 사업이 또다시 암초를 만났다. 최근 사업 부지에서 멸종 위기종인 맹꽁이 울음소리가 들리자 환경단체가 부지 내 서식지 조성을 요구하면서다. 사업자 측은 "환경단체 요구는 개발을 막겠다는 의도"라며 "지엽적인 얘기는 그만해야 한다"고 반발했다.

3일 전북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두 차례에 걸쳐 청음(聽音) 조사를 한 결과 대한방직 부지 내 4개 지점에서 맹꽁이 서식이 확인됐다. 개발 업체인 ㈜자광이 지난해 맹꽁이 성체 63마리와 새끼 544마리를 다른 서식지로 옮겼는데도 같은 지점에서 발견됐다는 게 이들 주장이다.

환경운동연합은 "대대적인 포획 이주 사업 후에도 전년과 같은 지점에서 맹꽁이가 발견된 건 대한방직 터가 맹꽁이의 대규모 서식지임을 의미한다"며 "부지 내에 원형 보전 방안을 추가하고, 자연녹지나 공원 부지(1만 1,470㎡) 또는 전체 부지의 40%를 차지하는 공개 공지(8만 1,798㎡)에 맹꽁이 서식지를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최근 자료에 의하면 서식지 외부 대체 서식지로 이주한 맹꽁이의 생존율은 5%에 불과하다"며 "2021년 최초 이주 대상지로 정했던 삼천 생태 학습장에 맹꽁이 230여 마리를 방사했으나 이듬해 사후 모니터링 보고서에서 서식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 단체는 또 "맹꽁이는 행동 반경이 100~300m에 불과해 최소한의 조건만 갖춘다면 도시 근린공원도 서식지가 될 수 있다"며 "전북환경청과 전주시는 산란기 맹꽁이 개체 수 및 환경 조사를 실시하고, 맹꽁이와 공존하는 개발 사업으로 전환하라"고 촉구했다.

옛 대한방직 전주공장 부지 복합개발계획 조감도.

옛 대한방직 전주공장 부지 복합개발계획 조감도.

이에 대해 전은수 자광 회장은 한국일보와 통화에서 "맹꽁이 서식지 조성이 필요하면 공장 철거 이후 공원을 만들 때 검토하면 될 일"이라며 "작년에도 수억을 들여 맹꽁이를 이주하면서 공사가 지연됐었다"고 발끈했다. 이어 "현재 부지 내 공장 건물 21개 동은 모두 1급 발암물질인 석면가루로 덮여 있다"며 "맹꽁이 보호도 중요할 수 있지만, 사람 사는 환경을 기본적으로 개선하는 게 먼저"라고 강조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지하 5~6층까지 들어내는 공사가 진행돼야 하는데 맹꽁이 서식지를 원형 그대로 보존한 채 개발이 가능한지는 의문"이라면서 "맹꽁이 추가 이주 등 세부적인 부분은 전북환경청과 협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대한방직 개발 사업은 최근 교통영향평가 심의를 통과됐으며, 지구단위계획과 도시기본계획 변경 등의 행정 절차를 거쳐 내년 하반기에 착공이 이뤄질 예정이다. 자광은 6조 2,000억 원을 들여 대한방직 부지(23만 565㎡) 내에 153층 높이의 관광 전망 타워를 조성하고 호텔, 오피스텔, 복합쇼핑몰, 문화 공원 등 개발할 계획이다.

김혜지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