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 정부가 아닌 지방자치단체 책임 아래 자치 지역 내에서 치안 업무를 담당하는 자치경찰제가 시행된 건 2021년 7월이다. 지방 분권과 자치 강화, 지방자치제도 취지에 맞게 경찰 서비스도 국가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분권화한 운영 방식을 적용해야 한다는 게 자치경찰제 도입 취지였다. 이에 국가경찰이 전부 맡고 있던 생활 안전, 지역 교통, 지역 경비, 광역단체 소관 특별사법경찰 등의 관리를 지방자치단체장이 맡게 됐고, 전국 17개 시‧도엔 심의‧의결 기구인 '자치경찰위원회'가 들어섰다. 이렇듯 자치경찰제 시행이 3년이 다 돼 가지만 광주 시민 10명 중 6명 정도는 아직 자치경찰위원회가 무슨 일을 하는 조직인지 모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19일 광주시 자치경찰위원회에 따르면 4월 22∼26일 만 18세 이상 시민 1,000여 명을 대상으로 전화 면접 조사한 결과 '자치경찰위원회가 무슨 일을 하는지 알고 있느냐'는 질문에 2.3%는 매우 잘 안다, 8.3%는 잘 안다, 30.5%는 들어 봤다고 답했다. 잘 모른다(34.8%), 전혀 모른다(24.1%)고 응답한 시민이 58.9%에 달해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 안전도에 대한 질문에 36.2%(매우 안전하다 1.9%·안전한 편이다 34.3%)는 안전하다, 48.3%는 보통이다, 15.5%(위험한 편이다 13.9%·매우 위험하다 1.6%)는 위험하다고 평가했다. 안전을 위협하는 교통수단은 개인형 이동장치(37.0%), 이륜차(31.1%), 화물 트럭(14.9%), 택시(7.5%), 승용차(6.2%) 등 순이다.
사회적 약자 대상 범죄 중 가장 시급하게 근절해야 하는 것(복수 응답)으로 학교 폭력 등 청소년 범죄(60.4%), 성폭력 등 성범죄(52.2%), 아동학대(28.1%), 스토킹·교제 폭력(18.7%), 가정 폭력(16.8%), 노인학대(11.0%) 등을 꼽았다.
안진 광주시 자치경찰위원장은 "지역 맞춤형 정책 수립을 위해 시민 의견 수렴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조사 결과를 시책에 적극 반영해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치안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