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생태 파괴자이자 국제보호종인 민물가마우지? 팩트체크 해보니 '사실 아냐'

입력
2024.05.25 17:00
14면
0 0
환경부가 지난해 '민물가마우지'를 유해야생동물(유해조수)로 지정해 올해 3월부터 살상포획이 가능해졌다. 새로운 종이 유해조수로 지정된 것은 지난 2009년 집비둘기 이후 14년만이다. 지정 사유는 어업에 대한 피해지만, 다수의 매체를 통해 민물가마우지가 수목·어류 생태계를 위협한다는 등의 보도가 되고 있다. 하얗게 고사한 나무를 보면 그럴사한 주장이지만 실체를 들여다보면 사실과 다르다. 민물가마우지가 22일 충남 서천군의 한 저수지에서 나뭇가지와 비닐로 튼 둥지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환경부가 지난해 '민물가마우지'를 유해야생동물(유해조수)로 지정해 올해 3월부터 살상포획이 가능해졌다. 새로운 종이 유해조수로 지정된 것은 지난 2009년 집비둘기 이후 14년만이다. 지정 사유는 어업에 대한 피해지만, 다수의 매체를 통해 민물가마우지가 수목·어류 생태계를 위협한다는 등의 보도가 되고 있다. 하얗게 고사한 나무를 보면 그럴사한 주장이지만 실체를 들여다보면 사실과 다르다. 민물가마우지가 22일 충남 서천군의 한 저수지에서 나뭇가지와 비닐로 튼 둥지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22일 민물가마우지가 집단 번식 중인 충남 서천군의 한 저수지 수면 위로 백화한 나무가 그물처럼 보인다.

22일 민물가마우지가 집단 번식 중인 충남 서천군의 한 저수지 수면 위로 백화한 나무가 그물처럼 보인다.

따스한 봄 햇살에 초록으로 물들었어야 할 나무가 새하얗게 죽어있다. 짙은 수면 위에 흰 금이 간 모습이 퍼지는 죽음을 형상화한 듯하다. 생명을 잃어가는 나무 사이사이 검은 점이 박혀 있다. 마찬가지로 흰색인 나뭇가지로 둥지를 틀고 앉아 새끼를 품는 민물가마우지다. 한때 연 1,000여 마리 남짓 보이던 겨울 철새가 어느새 텃새가 돼 수만 마리 넘게 세를 불리자 환경부는 지난해 민물가마우지를 유해야생동물(조수)로 지정하고 올해 3월부터 총기를 이용한 포획을 허용했다. 유해조수 목록에 새로운 종이 추가된 것은 ‘분변과 털로 문화재와 건물을 훼손’한 죄로 ‘집비둘기’가 추가된 2009년 이후 14년 만이다.

하얗게 죽은 나무가 주는 시각적 충격에 ‘머문 자리마다 초토화된다’는 언론 보도가 쏟아져 나오니 민물가마우지가 유해조수로 지정된 이유를 생태계 파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렇지 않다. 지정 이유는 ‘양식·낚시터·내수면어업 등 사업에 피해’를 주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물가마우지는 온갖 혐의를 받으며 미움받고 있는데, 관련 내용을 하나씩 살펴봤다.

분변 가득한 번식지, 보기에는 싫지만 생태계 영향은 미미

경기 양평군 팔당호 족자섬을 위에서 내려다보면 민물가마우지 무리가 번식지로 삼은 구역(왼쪽)과 백로류가 번식지로 삼은 구역이 확연히 구별된다. 그러나 민물가마우지와 마찬가지로 집단 번식하는 백로류도 백화 현상을 유발해 내륙 지역에서는 미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백로에 의한 백화 현상 관련 민원이 접수되면 지자체는 번식지의 나무를 벌목해 새를 쫓기도 한다.

경기 양평군 팔당호 족자섬을 위에서 내려다보면 민물가마우지 무리가 번식지로 삼은 구역(왼쪽)과 백로류가 번식지로 삼은 구역이 확연히 구별된다. 그러나 민물가마우지와 마찬가지로 집단 번식하는 백로류도 백화 현상을 유발해 내륙 지역에서는 미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백로에 의한 백화 현상 관련 민원이 접수되면 지자체는 번식지의 나무를 벌목해 새를 쫓기도 한다.


21일 경기 양평군 팔당호 족자섬 수변 지역 나무가 민물가마우지 분변으로 덮여 있다. 민물가마우지가 수 년 전 번식지로 삼은 우측 지역은 나무가 고사해 가마우지가 떠나고 초록 수풀이 다시 자라나기 시작했다.

21일 경기 양평군 팔당호 족자섬 수변 지역 나무가 민물가마우지 분변으로 덮여 있다. 민물가마우지가 수 년 전 번식지로 삼은 우측 지역은 나무가 고사해 가마우지가 떠나고 초록 수풀이 다시 자라나기 시작했다.

민물가마우지가 서식하는 나무가 하얀 것은 새의 분변에 의한 ‘백화 현상’이다. 한 장소에서 무리를 지어 번식하는 습성이 있어 나무 한 그루에도 여러 마리가 둥지를 튼다. 식사 후 꼬박꼬박 번식지로 돌아오고 올해 번식을 안전하게 끝내면 내년에도 다시 돌아오는 새다. 식사량도 엄청나 ‘많이 먹고 많이 싸는’ 새가 좁은 공간에 분변을 쏟아내니 나무가 버틸 재간이 없다. 대량의 분변이 나무의 광합성을 막고 토양에 질소(N)와 인(P)을 과다 축적시키며 균형을 깨뜨린다.

그런데 백화 현상의 원인이 되는 무리 짓는 습성 때문에 오히려 생태계 전반에 걸친 영향은 극히 미미하다. 고사한 수목은 지역의 전체 산림 면적에 비해 매우 좁은 면적에 한정되는 것이다. 최창용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교수는 “(민물가마우지가) 집단으로 번식하다 수목이 죽으면 다른 곳으로 옮겨가고 죽었던 수목에서 (자연의) 처리 과정이 발생한다”며 “숲의 장기적인 순환 과정에서 보면 그렇게 피해를 주는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최 교수는 오히려 이런 순환이 “수계 생태계에 있는 영양분을 산림으로 옮겨주는 역할”이라고 덧붙였다.

토착 어종 말살은 아직 확인되지 않아, 외래종 퇴치에 기여하기도

가마우지 새끼(위·오른쪽)와 어미가 22일 충남 서천군의 한 저수지에서 날갯짓을 하고 있다.

가마우지 새끼(위·오른쪽)와 어미가 22일 충남 서천군의 한 저수지에서 날갯짓을 하고 있다.


22일 충남 서천군의 한 저수지에서 민물가마우지 어미가 목주머니에 담긴 먹이를 새끼에게 먹이고 있다.

22일 충남 서천군의 한 저수지에서 민물가마우지 어미가 목주머니에 담긴 먹이를 새끼에게 먹이고 있다.

민물가마우지가 미움받는 또 다른 이유는 어마어마한 먹성. 민물가마우지가 번성하고 토종 민물고기의 씨가 말랐다는 것이다. 이 혐의는 지역에 따라 맞을 수도, 오히려 틀릴 수도 있다. 경희대학교 연구진은 2021년 환경부의 용역을 받아 수행한 민물가마우지의 생태적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 해외 연구 결과를 종합해 "개체수 증가와 어류 개체군과의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고했다.

국내 민물가마우지의 먹이 비율에 대한 연구는 적지만 한국교원대학교에서 2017년 국내 최대 번식지 중 하나인 팔당호의 개체군 먹이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블루길(26.4%), 배스(20.4%), 강준치(17.1%), 누치(16.2%) 순으로 많이 섭취했다. 네 어종의 합은 전체 먹이 중량의 80.1%로 민물가마우지가 생태교란종(블루길·배스)과 식용으로 가치가 없는 어류 처리에 앞장서고 있었다.

다만 종과 크기를 가리지 않고 먹어치우는 민물가마우지 특성상 외래어종에 장악당하지 않은 수역은 토착 어종이 주 먹이가 될 가능성이 높다. 보호가 필요한 어종 서식지에 가마우지가 과포화되면 개체수 관리가 필요할 수 있다.

어민 피해 있으나 정확한 통계 작성이 당면 과제

충남 서천군의 한 저수지에 민물가마우지 둥지가 가득하다. 이 저수지 인근은 온통 논밭으로 인구 밀도가 낮다. 민물가마우지는 보통 인적이 드문 수변에서 서식하고 반경 20㎞ 내에서 먹이를 사냥한다.

충남 서천군의 한 저수지에 민물가마우지 둥지가 가득하다. 이 저수지 인근은 온통 논밭으로 인구 밀도가 낮다. 민물가마우지는 보통 인적이 드문 수변에서 서식하고 반경 20㎞ 내에서 먹이를 사냥한다.


전북 군산시의 한 저수지 인근 야산에 민물가마우지 둥지가 가득하다. 이곳은 군부대와 채석장과 인접해 있어 섬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사람이 접근하기 매우 어렵다.

전북 군산시의 한 저수지 인근 야산에 민물가마우지 둥지가 가득하다. 이곳은 군부대와 채석장과 인접해 있어 섬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사람이 접근하기 매우 어렵다.

강원도 내수면 어민들을 중심으로 양식장과 그물 어업 등에 대한 피해가 다량 보고되며 민물가마우지의 유해조수 지정이 추진됐는데, 현재까지는 정확한 피해 집계가 어려운 상황이다. 내수면 어업장과 민물가마우지 번식지가 집중된 강원, 경기, 호남 중 도내 피해를 집계한 광역자치단체는 강원과 전북 뿐이고, 이마저도 어민들의 자발적인 신고와 추정치 기반으로 작성됐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전문적인 용역을 줘서 산출한 통계가 아니라 객관성이 부족하다"며 "수협 등에서 정확한 판매 실적이 나오는 원양 어업과 다르게 내수면 어업은 영세·겸업 어민 중심이라 조사가 어렵다"고 말했다.

통계청이 매년 발간하는 어업생산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내수면 어업생산량은 4만2,879t으로 민물가마우지 개체수가 폭증하기 시작한 2011년의 3만1,901t 대비 34.4% 증가했다. 세부 어종별로 나눠보면 뱀장어(121.9% 증가)가 생산량을 견인했고 송어와 메기는 각각 8.5%, 48.8% 감소했다. 김인 강원도 내수면자원센터 내수면사업팀장은 "뱀장어는 저층성 어류라 방류하면 모래, 펄, 돌 틈으로 숨어 가마우지가 잡아먹기 어렵고, 고소득 품종이라 (타 어종 어획량 감소로 인한 피해를) 상쇄할 수 있다"며 지자체 주도로 뱀장어를 대량 방류했다고 설명했다.

국제 보호종이라 포획 금지됐다는 뉴스는 오보

경기 수원시 서호공원에서 21일 민물가마우지 무리와 왜가리가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민물가마우지가 수는 많지만 체급이 큰 왜가리는 전혀 밀리지 않는다. 두 종은 보통 서로의 존재를 신경쓰지 않지만 좁은 부표에 민물가마우지가 몰리자 먼저 자리잡은 왜가리가 깃을 부풀렸다.

경기 수원시 서호공원에서 21일 민물가마우지 무리와 왜가리가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민물가마우지가 수는 많지만 체급이 큰 왜가리는 전혀 밀리지 않는다. 두 종은 보통 서로의 존재를 신경쓰지 않지만 좁은 부표에 민물가마우지가 몰리자 먼저 자리잡은 왜가리가 깃을 부풀렸다.


전북 군산시의 한 저수지의 수몰된 전신주에서 민물가마우지 두 마리가 22일 휴식을 취하고 있다.

전북 군산시의 한 저수지의 수몰된 전신주에서 민물가마우지 두 마리가 22일 휴식을 취하고 있다.

민물가마우지 개체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자 세계적 추세다. 양식 어류 증가와 상위 포식자의 부재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그간 국제 보호종이라 포획 못 했다는 뉴스는 명백한 오보다. 민물가마우지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 기준 인간과 같은 '최소 관심(Least Concern)' 등급으로, 현재로서는 민물가마우지가 멸종할 가능성은 인간이 멸종할 가능성과 비슷하다. 'LC'를 ‘관심 필요’로 오역해 발생한 웃지 못할 해프닝이다.

민물가마우지는 환경부령으로 정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외의 야생생물’ 중 하나로, 멸종 위기와 무관한 동물 471종이 등록돼 있다. 민물가마우지도 여전히 목록에 포함되지만 ‘일부 지역에 서식밀도가 너무 높아 사업 또는 영업에 피해를 주는 경우’에 한해 포획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된 것이다.


충남 서천시군에 자리잡은 민물가마우지가 22일 백화한 나무를 배경으로 날고 있다.

충남 서천시군에 자리잡은 민물가마우지가 22일 백화한 나무를 배경으로 날고 있다.


편집자주

무심코 지나치다 눈에 띈 어떤 장면을 통해 우리 사회의 다양한 사연들을 소개하려 합니다. 시선을 사로잡는 이 광경, '이한호의 시사잡경'이 생각할 거리를 담은 사진으로 독자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서천·양평·수원·군산=글·사진 이한호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